학술논문
부모의 정신질환이 자녀의 영유아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개입 방안에 대한 고찰
이용수 102
- 영문명
- Review of the Impact of Parental Mental Illness on Infant Development and Intervention Plan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최정원(Jungwon Choi) 박한선(Hanson Park)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60권 제1호, 44~52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impact of maternal mental health on parenting and infant development is significant. Infants of mothers who have experienced perinatal mental health problems have genetic risks as well as risks in establishing a stable mother-child relationship, which interferes with the infants’ emotional, cognitive, and social development.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inpatient treatments, such as mother-baby unit at the highest risk after childbirth, have been attempted to minimize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perinatal mental disorder. Mother-child psychotherapy is also helpful in improving a mother-child relationship and strengthening the parenting ability.
목차
서 론
제언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사회 정신보건 서비스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역할
- 유족과의 면담을 통한 자살자 심리부검과 경찰 수사기록 조사를 통한 자살자 심리부검 결과 비교
- 의과대학생을 위한 정신치료의 교육적 적용
- 성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및 수면장애가 경도의 손상 위험에 미치는 영향
- 조현병의 병태생리 기전에서 성체 신경줄기세포 이상이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가 보건의료업무 종사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지원 방안
- 코로나19가 성인 및 소아청소년에 미치는 영향과 지원 방안
- 코로나19 대유행 시기에 정신응급 현황과 개선 방안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환자와 자가격리자의 정신건강
- 부모의 정신질환이 자녀의 영유아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개입 방안에 대한 고찰
- 수도병원 정신건강증진센터: 만사형통형 모델의 개발
- 재난심리 지원에 대한 국민 인식도 조사
- 코로나19 팬데믹과 정신건강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 청소년 온라인 도박중독의 실태 및 지역사회 개입 방안을 위한 질적 탐색 연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Comparison of Frequency-Specific Transcranial Alternating Current Stimulations on 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Predicting 5-Year Survival and Mortality in Dementia Patients: A Data-Driven Approach Using XGBoost for Enhanced Care and Resource Allocation
- Online Aggressive Behavior, Self-Harm Behavior, and Social Anxiet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 Sites Addictive Tendenc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x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