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
이용수 252
- 영문명
-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the Importance and the Implmentability of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Inclusive Middle School
- 발행기관
- 한국행동분석학회
- 저자명
- 유윤경(Yoo Yun kyung) 백은희(Paik, Eunhee)
- 간행물 정보
- 『행동분석·지원연구』제7권 제3호, 41~6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을 대상으로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절차의 중요도 인식과 실행과 관련한 인식을 조사하고 운영상 필요한 지원요구는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IBM SPSS 25를 활용하여 항목별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 sample t-test) 및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다. 주관식 문항에 대하여서는 빈도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 특수 교사의 중요도 인식 정도는 기능평가, 중재, 위기관리계획, 문제행동의 선정 및 우선 순위화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 교사의 실제적 실행 정도는 중재, 기능평가, 문제행동의 선정 및 우선 순위화, 위기관리 순으로 실행 정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을 위해 필요한 요구는 학교 전체 문화조성, 시간과 인력 확보, 행동 중재 전문성 확보 등으로 조사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middle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importance and implementability of the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 and to find out what administrative support is needed for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inclusive middle school setting.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the importance of the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inclusive middle school? Second, what is the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implementability of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inclusive middle schools? Third, what support is necessary to implement and manage the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inclusive middle school? Paired Sample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methods were operated, utilizing IBM SPSS 25 for quantitative data analysis. Open questions were also included to know the needed support for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functional behavior assessment, intervention, and crisis intervention plan being important factors mostly. Secondly, teachers had been implemented functional behavior assessment, prioritizing target behavior defining and crisis intervention plan at school. Last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administrative support for teachers like enough time for intervention, school culture change and professional help like applied behavior analysis for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 support in inclusive middle school.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