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교과교육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방안 모색(Ⅱ)
이용수 31
- 영문명
- A study on school art education for academic development with contents organization and systematization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이주연(Lee, Joo-Yon)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51권, 1~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1.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교과교육의 전문성 신장을 목적으로 하는 두 번째 연구로, 미술교사 역량 강화 관련 첫 번째 연구에 이어 미술교과교육의 내용 체계화가 미술교과교육의 전문성 신장에 견인차가 된다고 보고 미술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을 통해 내용 체계화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학교 현장에 적용 중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 총 12권(3∼4학년 7권, 5∼6학년 5권)을 분석하여 학습 용어, 학습 활동을 추출하였으며, 내용 체계를 구체화하기 위하여 학년군별 내용 체계의 기준이 될 수 있는 미술 용어를 다시 추출하였다. 그 결과 미술 용어는 3∼4학년보다 5∼6학년에서 더 많이 제시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양적인 차이 자체가 내용 체계화를 의미하지 못하므로, 내용 체계 표준의 한 가능성으로 학년군별 조형 요소와 원리를 재추출하여 이를 중심으로 하는 내용 체계화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차기 미술과 교육과정 및 학교급별, 학년별 교과서 개발을 위한 학습 내용 선정 및 조직에 있어 내용 체계를 구성하는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study is the 2nd study of consecutive series on school art education for professional academic development with contents organization and systematization through analyzing art terms in elementary art textbooks(from 3rd to 6th gr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hierarchical organization and systematization of art terms, and to present the necessity of contents organization and systematization in art education. For this purpose, 12 elementary art textbooks, which were all government-authorized, were analyzed. The analysis was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n the units and contents of each publisher’s textbooks, considering the main 3 domains of aesthetic experience, expression and art appreciation of 2009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art terms,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for contents organization and systematization of elementary art education were presente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the basis for developing the next National Art Curriculum and art textbooks in organization and systematization of art contents.
목차
Ⅰ. 서 론
Ⅱ. 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
Ⅲ.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 내용 분석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교과교육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방안 모색(Ⅱ)
- 수집과 전시행위의 교육적 의미에 관한 연구
- 역할놀이를 활용한 미술 감상 수업이 공감능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 ‘기관없는 신체’로 살펴 본 종이와 함께 놀기 미술 교육 프로그램의 생성 특성에 관한 연구
- 미술교육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교육적 함의와 실행 방안 제안
- 초등미술교육에서 판화재료 특성탐색이 갖는 의의
-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생태 미술교육
- 거미의 생태를 통해 예술적 형상화에 대한 논의
- 초등학교 미술 수업에서의 거꾸로 수업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 미술적 페다고지에 대한 탐구
- 정약용의 도서화(圖書畵) 감평(鑑評)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동작활동 분석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어려움에 대한 연구 -실행 수준과 적용-
- 생태유아교육 관련 교과목 경험 유무에 따른 예비유아교사들의 '숲 교육'에 대한 지식 비교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