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천축산 일대 산지습지의 식생다양성과 관리방안
이용수 6
- 영문명
- Vegetation Diversity and Management Strategy of Mountain Wetlands in Cheonchuksan(Mt.) in Uljin
- 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 저자명
- 임정철(Lim, Jeong-cheol) 안경환(Ahn, Kyung-hwan) 조광진(Jo, Gwang-jin) 추연수(Chu, Yeoun-soo) 윤정도(Yoon, Jung-do)
- 간행물 정보
- 『한국습지학회지』제22권 제4호, 264~274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경상북도 울진군 서면 왕피천 유역 생태·경관 보전지역 내 천축산 자락의 고해발지역에 위치한 4개의 소규모 산지습지 식물군락의 다양성과 그 분포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서식처 유형과 종조성의 균질성을 고려한 Z.-M. 학파의 식물사회학적식생조사 방법에 따라 총 26개의 식생자료가 수집되었다. 우점 상관에 따른 식생 구분과 종조성을 고려한 식생 유형분류를 통해 9개 단위식생으로 구성된 4개 상관형의 식생 분포가 확인되었다. 진퍼리새-꽃창포군락은 연구지역을 대표하면서우점하는 식물군락이다. 인간의 이용 이후 방치된 균질한 입지에 자연천이로 식생이 발달하고 있으나 면적이 좁아 기타식물군락의 분포는 드물게 관찰되었다. 습지별 미세지형과 수문환경은 식생의 다양성과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소로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diversity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lant communities in four small mountain wetlands located in the high altitude area of Cheonchuk Mountain within the Wangpicheon Basin Ecological Landscape Conservation Area in Seomyeon, Uljin-gun, Gyeongsangbuk-do. A total of 26 vegetation data were collected according to the Z.-M. school s phytosociological vegetation survey method considering the homogeneity of habitat type and species composition. Four physiognomic vegetation types composed of 9 syntaxa was confirmed through vegetation classification according to dominant correlation and vegetation type classification considering species composition. The Iris ensata var. spontanea-Molinia arundinacea community is a dominant plant community representing the research area. After human use, vegetation is developing through natural transition in a homogeneous location left unattended, but the distribution of other plant communities was rarely observed due to the narrow wetland area. The microtopography and hydrological environment of each wetland were identified as key factors affecting the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vegetation.
목차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3. 결 과
4. 고 찰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설원예 단지의 친환경적 조성 계획의 새만금지역 적용 연구
- 습지교육의 정규교과 채택
- 생태계교란 식물 가시박의 개체밀도에 대한 환경요인 영향 분석
- 벼-담수어 유기농 복합생태 논습지의 생태계서비스 경제적 가치평가
- 생태가뭄분석을 위한 식생건강지수의 가중치 매개변수 추정
- 마이크로버블 장치를 이용한 하수처리장 바이오가스의 황화수소 제거
- 하수처리 전산모사 프로그램을 통한 연계처리시 하수처리장 영향 평가
- 천축산 일대 산지습지의 식생다양성과 관리방안
- 지역별 홍수피해추정을 위한 강우특성에 대한 홍수피해자료의 회귀모형
- LID 시설 관리를 위한 사물인터넷(IoT) 활용 복합 센싱 적용기술 개발
- 국내 피트층 토양의 특성 분석
- 환경산업기술 분류체계 및 기술 경쟁력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제12권 제2호 목차
- 해안지역 홍수예측 및 위험관리를 위한 GIS-딥러닝 통합 시뮬레이션 체계 구축
- 서남해 인근 해역의 계절별 통항특성에 기반한 선박과 해상풍력발전단지의 안전이격거리 설정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