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참여 및 삶의 질의 관계
이용수 286
- 영문명
- Relationships Among Cognitive Functions, Activities of Daily Living,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 발행기관
-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최유임(Choi, Yoo-Im)
- 간행물 정보
- 『재활치료과학』재활치료과학 제9권 제4호, 45~5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참여 및 삶의 질의 관계를 확인하고자하였다.
연구방법 : 지역사회 거주 노인 144명을 대상으로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참여 및 삶의 질을 측정하였다. 인지기능은 한국어판 간이정신상태검사, 일상생활활동은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 참여는 한국형활동분류카드, 삶의 질은 노인 삶의 질 척도를 사용하였다.
결과 : 인지기능은 참여의 사회활동과 삶의 질 3개 영역(신체적 건강, 심리적 건강, 사회관계 및 경제수준)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일상생활활동은 참여(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여가활동)와 삶의 질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참여의 하위영역들 중 수단적 일상생활활동과 여가활동은 삶의 질의 모든 하위영역과 상관이 있었고, 참여의 사회활동은 신체적 건강을 제외한 삶의 질의 모든 영역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여러 변인들 중 삶의 질과 가장 상관이 큰 변인은 참여의 여가활동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참여, 일상생활활동, 인지기능의 순서로 삶의 질과 상관이 있었고, 참여의 하위영역 중 여가활동이 삶의 질과 상관관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참여와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성공적인 노년기 삶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cogni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Methods : Cognitive function, ADL,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were assessed in the 144 elderly people residing in the community. We used MMSE-K for measuring cognitive function, K-ADL for ADL, K-ACS for participation, and GQOL for quality of life.
Results : Cognitive func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ocial activity of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physical health, psychological health, social relations and economic level). ADL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articipation (instrumental ADL, leisure activity) and all sub-areas of quality of life. Social activity of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ll subarea of quality of life except physical health. Among the variables, the most relevant variable was leisure activity.
Conclusion : It was related to quality of life in the order of participation, ADL, and cognitive function. Among the sub-areas of participation, leisure activity was the most correlated with quality of life. This study, thus,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successful elderly life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daily life activity,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별에 따른 일화기억 차이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이중과제를 활용한 노인인지기능 선별검사 개발
- 병원급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의 소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척수 손상 환자의 라이프 스타일 개선을 위한 재활 중재 효과
- 회상하기 프로그램이 알츠하이머 노인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 고엽제 노출 경험과 우울 및 삶의 질: 통합방법론
- 노인의 의미 있는 활동의 개념과 참여 평가에 관한 고찰
-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개선을 위한 말초감각신경자극과 과제 지향적 훈련의 동시 적용 효과
-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참여 및 삶의 질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