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약개발을 위한 임상연구간호사의 역할수행과 관련 요인
이용수 238
- 영문명
- Role Performance and Related Factors of Clinical Research Nurses in New Drug Development
- 발행기관
- 한국기초간호학회
- 저자명
- 박재은(Park Jeaeun) 김신미(Kim Shinmi)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제22권 제3호, 213~221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 performance and related factors of clinical research nurses (CRN) in the process of clinical trials of new drug development. Methods: Study participants were CRN whose affiliation was in non-capital areas and who had been working longer than three months at the time of the data collection.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with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development by Hwang & Go, 2011 comprising 16 items of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and 60 items of role performance via in-person and online. Additionally, opinions which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 CRN role were questioned for the future. A total of 141 questionnaires of 151 questionnaires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for data analysis as appropriate. Results: The level of overall role performance was above average (5.61±0.90) with the highest in subject care (6.04±0.96) and management and the lowest in self-development (4.39±1.52). The only factor affecting overall role performance was employment status and the only sub-category affected by factors of employment status, and some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elf-development. Conclusion: From study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RN seem to perform their proper role. Nonetheless, self-development should be considered as critical aspect for better CRN competency, which is an important aspect toward improving the CRN role performance. Additionally, efforts to improve the level of role performance must be established through stable employment and concrete departmental placement as suggested in this study.
목차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궁내 인공수정 시술을 받은 고령 난임여성과 비고령 난임여성에서의 임신성공 확률 및 영향 요인의 비교: 2016년 보조생식술 국가지원사업기준
- 생리식염수를 이용한 흡입요법이 수술 후 갈증과 인후통에 미치는 효과
- 성인 환자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폐렴환자를 위한 간호교육프로그램이 순응도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Neurodegenerative Dementias: A Brief Review
- 신약개발을 위한 임상연구간호사의 역할수행과 관련 요인
- 당뇨병노인의 구강환경과 자가간호행위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