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배리어프리(Barrier-Free) 영화 활성화 방안
이용수 1,358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ality and the Activation Ways of Barrier-Free Film
- 발행기관
- 한국상담복지경영학회
- 저자명
- 최영환(Choi, Youngwhan) 신주연(Shin, Juyeon) 염은유(Yeom, Eunryu) 오강국(Oh, Ganggook) 오세은(Oh, Seeun) 윤혜정(Youn,
- 간행물 정보
- 『상담복지경영연구』제3호, 37~6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의 삶의 질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 문화향유권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을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특히 다양한 문화활동 중 장애인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활동인 영화 관람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배리어프리 영화의 실태와 제도를 살펴보았다. 또한 배리어프리 영화 상영 경험에 따른 배리어프리 영화에 대한 수용도와 장애인에 대한 인식 변화를 검증하였다. 추가적으로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통해 배리어프리 영화의 실태와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국내의 배리어프리 영화는 2010년대 이후 발전해 오고 있으나, 여전히 장애인들의 문화 활동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미흡한 수준이다. 특히 배리어프리 영화의 절대적인 양적 측면의 성장이 미흡한 상황이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국내 배리어프리 영화의 확대를 위한 방안 모색에 있어서 영국은 좋은 사례가 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배리어프리 영화 경험에 따른 배리어프리 영화에 대한 수용도와 장애인에 대한 인식 변화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배리어프리 영화를 경험한 경우 배리어프리 영화에 대한 수용도가 증가하고, 장애인에 대한 인식 역시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배리어프리 영화 경험 증대를 위한 기회 확대, 기업차원이 활성화 방안 추진, 제도의 개선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measures to promote cultural right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particular, the focus was on movies, which are the most used fil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various cultural activities. We examined the actual conditions and systems of barrier-free films at home and abroad. Also, according to the barrier-free movie screening experience, we examined the change of acceptance of barrier-free movie and perception of disabled people. Additionally,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relevant experts to find out the status of barrier-free films and how to activate them.
Result shows that barrier-free films in Korea have evolved since the 2010s, but are still insufficient to meet the needs of disabled people for their cultural activities. In particular, since the absolute quantitative growth of barrier-free movies is not enough, measures need to be taken. The UK can be a good example of exploring ways to expand domestic barrier-free films, and additional consideration is needed. As a result of examining barrier-free film acceptance and recognition of disabled people according to barrier-free film experience, the barrier-free film experience showed that acceptance of barrier-free film increased and recognition of disabled people also improved. On the basis of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to increase the barrier-free movie experience, the promotion of corporate-level activation, and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고찰
Ⅲ. 배리어프리 영화 제작 현황
Ⅳ. 배리어프리 영화 경험 및 실태분석
Ⅳ. 배리어프리 영화 활성화 방향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