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교 기술 · 가정 교과의 ‘청소년의 이해’ 단원 내용에 대한 학생의 흥미도와 유용성 인식

이용수  14

영문명
Middle School Student s Educational Interest and Perception of Usefulness on the Contents of the Unit of Understanding of Adolescents in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발행기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슬비(Lee Seul Bi) 이연숙(Lee Yon Suk)
간행물 정보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23권 제1호, 53~7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3.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기술・가정 교과의 ‘청소년의 이해’ 대단원에 속한 소단원별 하위 주제의 교과 내용에 대한 남녀 학생들의 흥미도와 유용성 인식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인천에 거주하는 중학교 1학년 남녀 학생 5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빈도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석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청소년의 이해’ 대단원 내용에 대한 전반적인 흥미도와 유용성 인식 정도의 경향을 보면 가장 흥미도와 유용성 인식이 높은 소단원은 ‘청소년의 스트레스 관리’로 나타났다. 중학생의 ‘청소년의 이해’ 대단원의 소단원별 하위내용에 대한 흥미도는 성별, 거주지역, 모의 연령, 부모 학력, 교과 선호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유용성 인식은 성별, 거주지역, 모의 연령, 모의 학력, 교과 성적, 교과 선호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소단원별 교과내용에 대한 흥미도와 유용성 인식과의 상관관계는 전반적으로 어느 소단원에 대해 흥미를 많이 가질 경우 그 해당 단원뿐만 아니라 해당 단원이 속해 있는 중단원 내의 다른 단원에 대하여도 유용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middle school student s educational interest and perception of usefulness on the content of the unit of ‘Understanding of Adolescents in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and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educational interest and perception of usefulness and factors affecting them. The sample of this study is 521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Incheon, and Kyunggi province. The data a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 that ‘Stress Management in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is the content of the highest educational interest and usefulness. (2) The factors affecting the degree of educational interest on contents of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are sex, residence area, age of mother, education level of parents, and preference level of Home Economics subject matter. (3) The perception of usefulness on the contents of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is differed by sex, residence area, age and education level of mother, and preference level of Home Economics subject matter. (4) There are strong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educational interest and perception of usefulness on the contents of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5) Several recommendations for teaching-learning strategies to enhance the students educational interest and perception of usefeulness on the contents of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and future studies a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슬비(Lee Seul Bi),이연숙(Lee Yon Suk). (2011).중학교 기술 · 가정 교과의 ‘청소년의 이해’ 단원 내용에 대한 학생의 흥미도와 유용성 인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3 (1), 53-71

MLA

이슬비(Lee Seul Bi),이연숙(Lee Yon Suk). "중학교 기술 · 가정 교과의 ‘청소년의 이해’ 단원 내용에 대한 학생의 흥미도와 유용성 인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3.1(2011): 53-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