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인 안전교육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시제품 개발

이용수  234

영문명
Development of Application Prototype for Safety Education for the Elderly
발행기관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저자명
이보민(Lee, Bo-Min) 강혜지(Kang, Hae-Ji) 김지나(Kim, Ji-Na) 이석준(Lee, Seok-Jun) 한창경(Han, Chang-Gyoung) 양영애(Yan
간행물 정보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3권 제2호, 17~23쪽, 전체 7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 노인의 노화로 인한 변화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증가시키는데, 안전사고의 90% 이상이 예방 가능한 것이다.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교육이 필수적이나, 노인을 대상으로 한 안전교육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최근 미래 교육 도구로 대두되고 있는 기능성 게임을 기반으로, 모바일러닝이 가능한 노인 안전교육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9년 3월부터 6월까지 임상 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작업치료사 2명과 작업치료학과 교수 1명, 65세 이상 노인 8명의 의견을 취합하여 노인 안전교육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시제품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 노인 안전교육 어플리케이션은 노인과 관련성이 높고, 교육 필요도가 높은 5가지 범주(가정안전, 교통안전, 응급처치안전, 화재안전, 낙상안전)에 대해 문제를 풀면서 안전의식을 제고하고 몰랐던 부분에 대해 학습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게임모드는 싱글모드와 스피드모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제는 노인의 이해도를 높이기위해 사진을 이용하였다. 정답과 해설은 문제를 풀 때마다 제공하여, 즉각적인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노인이 흥미를 가지고 접근할 수 있으며, 즉각적인 피드백이 가능한 안전 교육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하지만, 본 어플리케이션은 초기모델로 보다 다양한 범주와 세부사항을 포함할 필요가 있으며 시청각 자료를 활용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한다면 노인들의 안전의식 함양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더불어,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 Changes due to aging in the elderly increase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with more than 90 percent of safety accidents preventable. Education is essential to prevent safety accidents, but safety education for elderly is not enough. To that end, based on functional gaming, which has recently emerged as a future educational tool, we hopes to develop a mobile-learning safety education application for elderly.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to June 2019 to develop an application prototype for safety education for eldrly by collecting opinions from two occupational therapists with clinical experience of 5 years or more, one professor of occupational therapy and eight persons aged 65 or older. Results : The application for safety education for the elderly will repeat the process of enhancing safety awareness and learning about areas that were not known while solving problems for five categories (home safety, transportation safety, emergency treatment safety, fire safety and fall safety) that are highly relevant to elderly and have high educational needs. Game mode consists of single mode and speed mode, and the problem is using picture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elderly. The answers and explanations are provided whenever the problem is solved, enabling immediate feedback.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a safety education application was developed that can be accessed with interest by the elderly and that can be immediately fed back. However, the application needs to include more diverse categories and details as an initial model and is thought to help foster a sense of safety for elderly if additional information is provided using audio-visual data. In addition, future research on effectiveness will have to be conducted on elderl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보민(Lee, Bo-Min),강혜지(Kang, Hae-Ji),김지나(Kim, Ji-Na),이석준(Lee, Seok-Jun),한창경(Han, Chang-Gyoung),양영애(Yan. (2019).노인 안전교육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시제품 개발.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13 (2), 17-23

MLA

이보민(Lee, Bo-Min),강혜지(Kang, Hae-Ji),김지나(Kim, Ji-Na),이석준(Lee, Seok-Jun),한창경(Han, Chang-Gyoung),양영애(Yan. "노인 안전교육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시제품 개발."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13.2(2019): 17-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