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활습관 교육을 접목한 인지자극 그룹 프로그램의 효과 : 농촌지역 치매안심마을 경로당 이용 노인을 대상으로
이용수 763
- 영문명
- Effects of the Cognitive Stimulation Group Program Combined with Lifestyle Education: For the Elderly who use dementia care village in rural area
- 발행기관
-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원경아(Won, Kyung-A) 박지혁(Park, Ji-Hyuk) 김정란(Kim, Jung-Ran)
- 간행물 정보
-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제1권 제2호, 17~2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재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농촌지역 치매안심마을 경로당 이용 노인을 대상으로 생활습관 교육을 접목한 인지자극 그룹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인지기능과 우울 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강원도 H군 치매안심마을 경로당 이용 노인 16명이 연구에 참가하였으며, 단일집단 사전-사후 검사 설계를 사용하여 연구를 설계하였다. 생활습관 교육을 접목한 인지자극 그룹 프로그램은 10주 동안 주 1회씩 실시되었다.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판 치매 선별도구(MMSE-DS), 주관적 기억저하 설문지(SMCQ), 한국어판 단축형 노인우울 척도(SGDS-K)를 프로그램 전, 후로 진행하였다.
결과: 사전 및 사후평가를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MMSE-DS(p=.009)와 SMCQ(p=.239)에서 인지기능은 유지 및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우울 증상(p=.001)에서도 의미 있는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생활습관 교육을 접목한 인지자극 그룹 프로그램은 지역사회 노인의 인지 및 우울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중재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치매안심센터 또는 복지관이라는 시설을 넘어 지역사회 경로당에서도 효과적인 프로그램 운영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경로당을 통해 지역사회 건강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가 확장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lement cognitive stimulation group program combined with lifestyle education for the elderly who use dementia care village in rural area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ve symptom.
Methods: This study was designed using one group pre-post design and 16 elderly who use the senior community center in rural area participated into the study. Cognitive stimulation group programs combined with lifestyle education were conducted once a week for 10 week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MMSE-DS, SMCQ, and SGDS-K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Result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pre- and post-assessment, Through MMSE-DS(p=.009) and SMCQ(p=.293), we have confirmed that the cognitive function has been maintained or improved. Significant changes were also seen in depression symptoms(p=.001).
Conclus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the cognitive stimulation group program combined with lifestyle education is an intervention that can positively affect the cognition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In addition, we confirmed that various programs can be operated effectively in the senior community center beyond facilities such as dementia care center or welfare center. We look forward to expanding opportunities to contribute to the health of the community through the senior community center.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