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치료사의 자기탄력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수행불안의 매개효과
이용수 208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s of Performance Anxiet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Resilience and Self-Efficacy of Art Therapy Experts
- 발행기관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김은지(Kim Eun-Ji) 박보람(Park Bo-Ram)
- 간행물 정보
- 『예술심리치료연구』제15권 제3호, 31~5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의 자기탄력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수행불안 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미술치료사 137명에게 수집한 자료를 Baron & Kenny(1986)의 매개 효과 통계 방법을 통해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가설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사의 자기탄력성이 자기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둘째, 미술치료사의 수행불안 이 자기탄력성과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 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미술치료사가 가져야 할 치료사적 자질 중 자기탄력성과 자기 효능감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고 나아가 치료사의 자기탄력성이 주요한 치료적 요인임을 밝 혔으며, 치료 상황에서 발생하는 불안을 다루는 치료사 변인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e purposed of this 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elf-resilience of art therapy experts on self-efficacy; furter, it analyzed the mediator effects of performance anxiety on this ability. By using the SPSS 22.0 program, this study analyzed data collected from 137 art therapy experts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method of Baron & Kenny (1986). The research aspects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the self-resilience of art therapy experts had positive effects on self-efficacy. Second, the performance anxiety of art therapy expert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silience and self-efficac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cla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silience and self-efficacy among qualities that art therapist’s should have and showed that self-resilience is the main therapeutic factor. And it provides basic data on that a therapistic factor deals with the anxiety that arises from the treatment situation.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측정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처리 및 분석 방법
Ⅲ. 연구결과
1. 기술통계
2. 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
3. 매개효과 분석
4. 매개효과 검정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단일사례 보고: 소근육 기능을 중심으로 한 일화기록 탐구
- 육아 과정에 나타난 연금술 상징에 대한 분석적 자문화기술지
- 통합예술치료에 적용된 음악분석 -신성원무(Sacred Circle Dance) 음악을 중심으로-
- 미술치료사의 자기탄력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수행불안의 매개효과
- 치매노인 대상 미술치료의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진단받은 유아의 상호작용을 위한 모-자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 국내 음악 중재연구 분석
- 오감자극 집단미술치료가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 음악활동이 목회자 사모의 회복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시설거주 지적장애인의 부정적 자기표현 감소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 현상학적 관점으로 고찰한 심층심리치료로서 오센틱무브먼트의 치유적 경험의 의미
- 빗속의 사람 그림(DAPR)과 대학생활적응 관계 연구
- 예술심리치료 연구동향 분석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지 게재논문(2014~2018)을 중심으로-
- 인지학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정서·행동 관심군 아동의 자기조절력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상담심리교육복지 12권5호 목차
- 일의 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초심상담자의 직무만족: 경제적 제약, 일 자유의지, 괜찮은 일의 구조적 관계
- 드림스타트 아동의 기초학력 중재 프로그램 효과: 초등학교 1-3학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