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 직업재활분야의 현황과 과제 -관련 법과 제도를 중심으로-
이용수 162
- 영문명
- Present Status and Future Tasks of Korean Vocational Rehabilitation - Related Legislation and System -
- 발행기관
- 한국직업재활학회
- 저자명
- 조성열(Sung-yeol Cho)
- 간행물 정보
- 『직업재활연구』제14권 제1호, 247~27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 나라의 직업재활서비스를 규정하는 것은 관련 법과 제도이고, 이러한 법과 제도는 그 나라의 독특한 역사와 문화, 사회현상을 반영하는 것이기 때문에 국가마다 차이가 있다. 할당고용제를 실시한 지 25년이 되어 가는 이 시점에서 직업재활제도가 그 동안 걸어온 길을 되돌아 보고 앞으로 가야할 길을 모색해 보는 것은 시의적절한 일이라 하겠다. 본고에서는 장애인 직업재활제도를 다룬 자료와 문헌연구를 통한 장애인의 직업 재활 관련 법과 제도를 고찰하기 위하여, 먼저 제2차 장애인복지발전 5개년 계획에 나타난 장애인 고용정책의 기본 방향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직업재활 정책으로서 할당고용정책과 보호고용정책 및 차별금지정책에 대하여 소개한 후, 직업재활체계와 기본원칙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또한 직업재활 관련 법으로서 특수교육진흥법과 장애인복지법, 장애인고용촉진및직업재활법의 주요 내용을 소개하고, 마지막 결론으로 우리나라에서 직업재활제도의 향후 전개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olicy and laws which regulat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in a country are different from country to country as these systems reflect unique history, culture, and social issues of that country. At the point of 25 years of quota system has passed in Korea, it is meaningful to consider past history and future direc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ystem in our country. To study policy and laws on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through rehabilitation materials and literature, this article examined basic direction of employment poli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shown in The Second Five Year Rehabilitation Pla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is article has also introduced quota system, sheltered employment, and discrimination legislatives on employment polic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policy and basic principle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have been introduced along with major issues of related legislatives such as Special Education Promotion Act, Welfare Act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Employment Promotion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Act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Finally future direc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in our country has been suggested as a conclusion.
목차
Ⅰ. 서언
Ⅱ. 장애인 고용정책의 기본방향
Ⅲ. 직업재활사업 체계 및 기본원칙
Ⅳ. 직업재활제도
Ⅴ. 장애인 직업재활 관련법
Ⅵ. 향후 전개방안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인 직업재활분야의 현황과 과제 -관련 법과 제도를 중심으로-
- 발달장애인 지역사회 적응기술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 직업재활서비스 전달체계와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소고
- 보조공학이 미국의 지원고용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장애근로자 이직의 유형과 요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 지원고용이 기업주의 고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정신지체장애인을 중심으로 -
- 발달장애 청소년의 전환교육에 관한 인식 연구 - 고등부 직업교과 과정을 중심으로 -
- 경기도 취업 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직업재활실시기관의 연계방안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경비지도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기계경비시스템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 민간경비 분야 효율성 증대를 중심으로
- 산업기술 유출 의도의 심리적 예측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TCI 기질과 합리적 선택 이론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