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우울 영향요인 비교
이용수 568
- 영문명
-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Comparison between Elders Living Alone and Elders Not Living Alone
- 발행기관
- 한국노인간호학회
- 저자명
- 김선애(Kim Sun-Ae) 권명진(Kwon Myoungjin) 서가원(Seo Kawoun)
- 간행물 정보
- 『노인간호학회지』제21권 제2호, 51~6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elderly people who live alone and those who do not live alone. Methods: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6th and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for 3,218 elderly people were included. Variables related to gener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selected.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elders living alone were dinner frequency, presence of hypertension or stroke, walking time, Body Mass Index, activity limitation, stress, body image, and quality of life, and their explanatory power was 50.0%. 2)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elders not living alone were sex, economic level, educational level, frequency of breakfast and lunch, activity limitation, stress,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35.2%.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elders’ residence type. In order to prevent depression in elderly peopl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ifferent strategies according to their residence type.
목차
서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