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의 고령화와 박물관⋅미술관 노인교육: 노인 대상 프로그램 및 노인주제 전시 사례연구
이용수 1,364
- 영문명
- Educational Programs for Senior Citizens in Korean Museums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저자명
- 박민진(Park Min Jin) 권지연(Kwon Cheeyun)
- 간행물 정보
- 『박물관학보』제36호, 43~6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는 전체인구의 14% 이상이 노인에 해당되는 소위 ‘고령사회’에 예상보다 일찍 2017년에 진입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 노인인구가 누릴 수 있는 문화적 기반이 선진국에 비해 열악한 상황이고, 이미 충분한 경제적 부를 축적한 일부 노인계층을 위한 시설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노인복지 시설들은 단순 요양원, 또는 보호소 수준에 그치고 있다. 현재 베이비붐세대가 본격적으로 은퇴하고 있는 상황에서 보다 높은 질적 수준을 갖춘 노인 대상 문화시설에 대한 연구 및 개발, 보급이 어느 때보다도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그동안 박물관⋅미술관의 교육프로그램들의 주된 수요층은 대부분 유년 또는 청⋅장년층이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국내의 박물관⋅미술관에서 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선도적으로 시행해온 노인 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박물관 노인교육의 가능성과 방향에 대해 모색해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anks to the developments in modern medicine and improved living conditions, longer lifespans have become a more common phenomenon worldwide. Korea has now become an aging society, with over 14% of its population above the age of 65. Compared to the past, modern Korean elders have relatively higher educational levels and therefore stronger intellectual needs and desires for cultural activities. However, the facilities for these older adults’ cultural experiences are insufficient in breadth and scope in Korea and are accompanied by social problems, such as generational gaps, negative views, social alienation, and poverty associated with aging.
As museums are social institutions, those in Korea now need to take a more active role in embracing the country’s aging population. To promote this role, this paper examines five museum case studies that have taken the lead in providing various programs for the elderly in the past few years. They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programs for the aged and programs about the aged. These programs were carried out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The National Palace Museum, The National Folk Museum, Whanki Museum, and Gyeonggi Children’s Museum. Many have been exemplary, but some have been discontinued due to the lack of staff and resources. In addition to these few public institutions and a rare private art museum that have taken the lead, more sustainable senior educational programs need to become an integral part of museums’ practices for addressing the needs of the rapidly aging population in Korea.
목차
I. 서론
II. 한국의 고령화와 노인 문화예술교육
1. 한국의 고령화 현상
2. 국내 노인 문화예술교육 현황
III. 한국의 박물관⋅미술관 노인교육 사례
1. 노인 대상 교육프로그램
가. 국립현대미술관
나. 국립고궁박물관
다. 환기미술관
2. 노인주제 전시기획
라. 국립민속박물관
마. 경기도어린이박물관
IV. 종합 분석 및 결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우리의 쇠젓가락, 과거로부터 미래를 지향한다
- 박물관교육에서 유물 리터러시 학습 방안 모색
- 한국의 고령화와 박물관⋅미술관 노인교육: 노인 대상 프로그램 및 노인주제 전시 사례연구
- 미술관 경영 측면에서의 대중문화 아이콘 전시 배경 연구 - 미술관의 환경 분석을 중심으로 -
- 뮤지엄 브랜드화 정책과 소장품 운영 방식의 변화: 구겐하임 빌바오 미술관과 루브르 아부다비 사례를 중심으로
- 포천지역 산림문화자산 해석을 통한 국립산림박물관 체험학습 콘텐츠 개발
- 미국 윙루크 뮤지엄 - 21세기 커뮤니티 박물관의 사회적 역할 -
- 열하일기, 박지원이 본 세상 - 2018 실학박물관 하반기 기획전 다시보기 -
- 울산시 도시재생 사업과 문화활동의 연계성에 대한 사례연구 - 울산시립미술관과 아트프로젝트 울산 사례를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