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호자 교육과 경험학습 훈련이 실어증 환자의 의사소통 개선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329
- 영문명
- Effects of Communication Improvement on Caregivers Education and Training on Aphasia
- 발행기관
-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박희준(Park Hee-June) 장현진(Chang Hyun-Jin)
- 간행물 정보
- 『재활치료과학』재활치료과학 제8권 제2호, 79~8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5.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경험학습모델에 따라 하나의 체계적 프로그램으로 결합하였는데 이 접근법의 목표는 환자와 보호자들의 이해를 돕고 필요한 것을 인지시키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근거로 본 연구자는 환자와 대화상대자 사이의 의사소통 개선을 위한 보호자 교육과 경험학습모델에근거한 그룹훈련의 장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이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 소재에 있는 종합병원에 입원한 40~50세의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 6명(구어 실행증 2명, 브로카실어증 3명, 명칭 실어증 1명)과 보호자들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명확한 정보교환 의사소통은 보호자가 촉진전략을 사용하여 환자의 메시지를 파악하였는지 알아보고 사회적 상호작용 의사소통은 보호자의 긍정적인 행동과 방해하는 행동의 빈도 변화를 파악하였다. 보호자의 행동 변화는 훈련 전의 부정적 행동들이 훈련 후 어떠한 행동으로 변화하였는지알아보고 설문지를 통해 환자와 보호자들의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 첫째, 보호자 교육과 경험학습에 근거한 그룹훈련이 명확한 정보교환 의사소통을 향상 시켰다.
둘째, 보호자 교육과 경험학습에 근거한 그룹훈련이 사회적 상호작용 의사소통을 향상 시켰다. 셋째, 보호자 교육과 경험학습에 근거한 그룹훈련이 보호자의 행동을 변화시켰다. 넷째, 보호자 교육과 경험학습에 근거한 그룹훈련이 환자와 보호자들의 만족도를 향상 시켰다.
결론 :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국내에서는 그동안 거의 고려되지 않았던 실어증 환자의 보호자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깨닫고, 국외에서 이미 활용 중인 여러 유형의 프로그램을 표방하여 우리나라의문화와 재활 환경에 맞는 다양한 보호자 교육의 내용을 계획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 : Aphasia interferes with communication between the patient and conversation partner. Adequate communication is essential not only for the patient but also for caregiver education and training Method : This study examined the benefits of parental education and group training in terms of improving the communication of six aphasic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family members). Caregiver education provided caregivers with information on stroke and aphasia, and group training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learning cycle.
Result : As a result, communication increased in terms of sending and receiving messages or interactive communication. Furthermore, the questionnaire analysis showed that caregivers learned more about aphasia and had confidence in using facilitation strategies.
Conclusion : Giving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patients and caregivers promotes caregiver’s knowledge and positively interac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보호자 교육과 경험학습 훈련이 실어증 환자의 의사소통 개선에 미치는 효과
-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적용한 라이프스타일 중재의 형태와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 학교용 감각처리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작업치료사 욕구 조사
- 복지시설 아동의 심리치료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 연구 :아동 행동평가 척도를 중심으로
- 단순 손동작 반복이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말소리산출의 정확성과 유창성에 미치는 영향
- Normative Data of the Upper Extremity Performance Test for the Elderly (TEMPA) for Korean Older Adults and Characteristics of Hand Function and Strength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