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도인지장애 선별을 위한 전산화 평가 항목 개발
이용수 98
- 영문명
- Development of Computerized Screening Test Items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 발행기관
-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박진혁(Park Jin-Hyuck) 박지혁(Park Ji-Hyuk)
- 간행물 정보
- 『재활치료과학』신경재활치료과학 제7권 제4호, 31~4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1.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선별을 위한 전산화 평가 항목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문헌고찰을 통해 경도인지장애 선별을 위해 사용되는 기존의 전산화 평가에서 항목들을 추출하였다. 이후 델파이 기법을 실시하였으며, 전문가 패널들의 의견을 취합하여 추출된 항목들을 수정 및 보완하고 최종적으로 중요도 및 적합도를 판단하여 평가 항목들을 선택하였다.
결과 : 문헌고찰을 통해 12개의 전산화 평가에서 37개의 항목을 추출을 하였고 1차적으로 전문가들의 의견을 통해 11개의 항목을 추가하였다. 이후 2차 전문가 모임을 통해 48개의 항목에서 경도인지장애 선별에 부적합한 18개의 항목이 제거되었다. 마지막으로 내용타당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30개 항목에서 12개 항목이 제거되어 최종적으로 16개의 항목이 선택되었다. 최종 16개의 항목은 주의력, 기억력, 실행기능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결론 : 경도인지장애 선별을 위한 16개의 전산화 평가 항목이 개발되었다. 추후 이 항목들을 이용하여 타당성 연구를 실시하여 경도인지장애 선별에 적합한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 전산화 평가를 정상 노인 및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실시하여 전산화 평가에 대한 표준화 연구를 진행하여 임상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was to develop computerized screening test items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Methods: Through literature reviews, items from computerized tests for screening mild cognitive impairment were extracted. A panel of professional experts validated that the items were important and fit to screen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Results: A total 37 items were extracted from 12 computerized tests and 11 new items were added through the first panel review. After that, 18 items were removed via the second panel review. Finally, 16 items were selected by analyzing content validity ratio. 16 items consisted of memory,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 areas.
Conclusions: A total of 16 computerized test items were developed. It is urgent to validate them to screen mild cognitive impairment. Moreover, standardization studies for this test are required in the future.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s
Ⅲ. Results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 훈련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 단일대상연구
-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에 원격재활이 미치는 효과
- 상지로봇치료가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팔뻗기 움직임에 미치는 단기 효과
- 경도인지장애 선별을 위한 전산화 평가 항목 개발
- 수공예활동을 이용한 그룹 작업치료 중재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 능력과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지역사회 거주 척수장애인의 참여 제약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 자발적 혀 저항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에 미치는 효과: 사례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