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각장애인의 독화/판독과 언어 정상화를 위한 독화소 및 독화교수전략
이용수 127
- 영문명
- Viseme and Its Teaching Strategy for Speech-Reading and Language Normalization of People with Hearing Loss
- 발행기관
-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 저자명
- 조소현(So Hyun Cho) 최참도(Cham Do Choi)
- 간행물 정보
-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제14권 제4호, 219~22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0.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social awareness of “the language of the hearing impaired, ie., manual sign language,” is prevalent today. However, this false proposition has deepened the error and prejudice that deaf should be taught sign language from early childhood and should be taught by sign language in all educational curriculums. As a result, it impossible for us to live only in the community between the deaf and the deceased in the basic language life as a citizen who listens, reads, or writes in korean and they limit the potential for deaf children to compete equally with the general public. Howev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language and vocabulary of the mother tongue through dealing with the viseme of Korea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language and language of the mother tongue and to communicate with the neighbors through traditional oral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it is shown that all the hearing impaired people in Korea, including the deaf people who only have to communicate through sign language, can learn the poetry by the Korean viseme system.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a curriculum for lifelong education that adapts to the general society, lives with the general public and enhances their competitiveness according to individual creativity through application of the system in our study.
목차
INTRO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CONCLUSION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채널 보청기의 해제시간에 따른 무의미음절인지도와 선호도의 변화
- 휴대용 음향기기의 선호청취음량을 결정하는 요인들
- 인공와우이식 청년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스크립트 기반의 청능훈련 도구 개발 및 효과에 대한 예비평가
- /ㅅ, ㅆ/ 음소의 치간음화에 따른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 특성
- 화자의 성별에 따른 한국형 주파수중요함수 및 절대전달함수 비교
- 이명이 있는 난청인의 보청기 착용으로 인한 이명재활의 효과
- 신경섬유 손상에 따른 급성기 뇌출혈 환자의 확산 텐서 이미지와 언어장애 특성
- 청각장애인의 독화/판독과 언어 정상화를 위한 독화소 및 독화교수전략
- 뇌졸중 후 말-언어장애 환자의 삶의 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Understanding Local and International Students’ Perspectives on Local-English Code-Switching in EMI Classrooms
- 교양영어수업의 협력적 글쓰기 과정에서 동료 피드백 활동에 대한 사례 연구
- 프랑스어 교수자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디지털 연수 모델 연구: 이론적 탐색과 사례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