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tomidoline이 각종 평활근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 of Etomidoline on the Isolated smooth Muscle of Rabbit
- 발행기관
- 대한약리학회
- 저자명
- 김원준(W.J. Kim) 김정희(J.H. Kim) 신윤용(Y.Y. Sheen)
- 간행물 정보
- 『대한약리학잡지』제16권 제2호, 25~30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80.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Etomidoline (Nonspa??), which is chemically related to tertiary amine, is new synthetic antispasmodic agent with analgesic action. Antispasmodic effect of this agent is stronger than hyoscine butylbromide (Buscopan??), quaternary amine, and the absorption from intestine is also much higher.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effect of etomidoline on duodenal motility and other smooth muscles of rabbit. Strips of various isolated smooth muscle, 2 cm long from adult rabbits weighting about 2 kg, were suspended in a muscle chamber containing Tyrode s solution, which was bubbled with oxygen gas, and the temperature of the solution was kept constant at 38˚C. After being washed with fresh solution several times the strips of smooth muscle attained constant motility and tonus. Etomidoline and other drugs were added in various concentrations to the chamber. Contractility of the strips was measured by using polygraph (Grass, model 7).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isolated rabbit atrium etomidoline produces a slight depression of contractility and the rate is also decreased. 2) On the other hand, etomidoline relaxed isolated strips of stomach, duodenal, and detrusor of rabbit. This relaxing effect of etomidoline on isolated duodenal strip of rabbit was not blocked by α-adrenergic blocking agent, phenoxybenzamine, but by β-adrenergic blocking agent, propranolol. 3) Etomidoline did not exert any effect on isolated aorta, gall bladder, and trigone of rabbit. From the above results,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relaxing effect of etomidoline on duodenal strip is related β-adrenergic receptor.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측뇌실내(側腦室內) Nalprphine의 가토신장기능(家兎腎臟機能)에 미치는 영향(影響)
- 요로 감염증에 대한 Cefoperazone(Cefobid)의 임상효과
- Penicillin G 주입이 Furosemide 이뇨작용에 미치는 영향
- ACTH와 Picrotoxin에 의(依)한 혈당(血糖)과 혈장(血漿) Corticosterone 치(値)의 변동(變動)에 미치는 Chlordiazepoxide의 영향(影響)
- CC14의 간장독작용(肝臟毒作用)에 미치는 Thyroxine의 영향(影響)
- Etomidoline이 각종 평활근에 미치는 영향
- 정상 및 병적체액중 동종효소분획에 관한 연구
- 부인과감염증(婦人科感染症)에 대(對)한 Cefoperazone(Cefobid)의 임상효과(臨床效果)
- Riboflavin Tetrabutylate가 약물대사 효소 및 지질 과산화효소에 미치는 영향
- Cefoperazone(T-1551)의 약리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약학회지 제69권 제3호(2025년) 목차
- 국내외 폐의약품의 수거 현황 비교 및 정책적 시사점 도출
- 성인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에서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체계적 문헌고찰 및 베이지안 네트워크 메타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