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의 사회과 시민교육에 내재된 '사회형성' 에 관한 논리
이용수 46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일본교육학회
- 저자명
- 남경희
- 간행물 정보
- 『한국일본교육학연구』제17권 제2호, 23~3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2.28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국내외적인 사회변화에 따라 일본은 영국의 시민과를 비롯한 새로운 시민교육의 흐름에
다가가기 위해서 다양한 유형의 시민교육을 모색하고 있다‘ 사회형성력은 사회인식력에
참가 기능을 추가한 개념으로 학습자가 사회 적 개인으로서 자신이 속한 공동체 에 관심을
높이고 민주적 가치 를 실현하는 능력이다, 사회형성으로서의 시민사회과는 사회과가 사회
를 학습대상으로서 다루는 이상 비판적 민주주의라고 하는 사회형성의 논리가 교과에 관
철되 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한다
사회형성력의 육성방법으로는 사적 사회형성으로서의 의사결정과 공적 사회형성으로서
의 의사결정을 들 수 있다 사적 사회형성의 방법으로 ‘합의형성에 터한 사회형성’을 들
수 있다 이 모형은 기본적으로 개인적 의사결정을 기반으로 한 위에 대화 등의 공적 의
사결정 과정을 추가한다 공적 사회형성의 방법으로 ‘비판을 통한 사회형성’, ‘반성적 사회
탐구를 통한 사회형성’, ‘ 의논을 통한 사회 문제해결을 지향하는 사회형성’을 들 수 있다
이는 비 판적, 반성적 및 의논 동과 같은 방법에 의한 공적 의사결정을 기반으로 한다
사회형성으로서의 시민사회과는 실천론적 측면에서 비판과 참여라는 특정을 지 니 고 있
고, 비 판적 민주주의를 통한 사회형성을 목적으로 하는 시민교육을 의도하고 있다 사회구
성원의 가치관이 다양하여 가치갈등이 심하고 공공으로부터의 이탈 현상이 심화되는 현
대사회에서 민주주의 사회의 재구축을 위해서 이러한 논의들의 끊임없는 진화가 필요하
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n analysis of landscape photographs in geographic education: Comparative research study about geographers and undergraduate students
- 일본 지역학습의 전개와 과제: 사회과 수업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 일본의 장학금제도 운영에 관한 고찰
- 한국과 일본의 중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 일본 지역육아지원거점사업의 고찰 및 우리나라 지역육아지원정책에의 시사점: 아동관의 지역육아지원을 중심으로
- 일본의 사회과 시민교육에 내재된 '사회형성' 에 관한 논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A Study on Ren Bishi’s Thought on the Work of the Youth League
- Breaking the Trap of Alienation: Theoretical Connotation and Practical Approach to Optimizing the Development of New-quality Productive Forces with Human-centered Logic
- An Analysis of India’s Arctic Strategy from the Perspective of Indian Think Tank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