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심하천 수생식물의 흐름에 대한 대응 분석 및 식재영역 결정
이용수 29
- 영문명
- Flow response and habitat region of aquatic plants in urban streams
- 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 저자명
- 김성환(Seonghwan Kim) 최계운(Gyewoon Cho) 김진홍(Jin-Ho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습지학회지』제20권 제1호, 35~4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도심구간 하천의 수생식물을 대상으로 흐름에 대한 대응양상 판단 및 식재영역 결정을 목표로 하였다. 수생식물로서 달뿌리풀, 갈대, 물억새, 개여뀌 및 고마리를 선정하고 흐름의 유속과 수심 및 식생의 성장도에 대하여 대응 분석하여 상기 수생식물의 식재영역을 결정하였다. 수생식물의 대응은 일반적으로 흐름에 대하여 안정, 회복, 훼손 및 유실로 구분되었다. 현지 조사 결과 수생식물의 회복과 훼손 정도는 식생의 휘어짐 각도를 기준으로 대략 30°~50°의 범위에서 구분되었다. 식생은 달뿌리풀, 갈대, 물억새, 개여뀌 순으로 흐름에 대한 대응력이 컸다. 달뿌리풀은 뿌리의 강한 고착력으로 수심이 0.9m에서 유속 1.5 m/s까지 대응력이 강했다. 갈대는 수심 1.0 m와 유속 0.9 m/s 범위 내에서 흐름에 대응 가능하였다. 물억새는 대체적으로 수심 1.0 m와 유속 0.6 m/s 이하가 식재 가능 영역으로 제한된 식재 범위를 나타내었다. 개여뀌나 고마리는 흐름에 대한 대응력이 보다 약하며, 수심이 1.0 m를 넘는 경우 유속이 조금만 커져도 생존이 어려웠다. 상기 결과를 이용하여 수생식물 각 수종별 식재영역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esents the flow response and habitat region of the aquatic plants in the urban streams. Phragmites
japonica, Phragmites communis, Miscanthus sacchariflorus, Persicaria blumei and Persicaria thunbergii were selected as for typical plants. Flow response and habitat region were determined by flow velocity/depth and vegetation growth. Stages for flow response of the aquatic plants were classified into stable, recovered, damaged and swept away. Criteria between the recovered and damaged stage was determined by the bending angle of 30∼50°. Capability against flow was high in the order of Phragmites japonica, Phragmites communis, Miscanthus sacchariflorus, Persicaria blumei and Persicaria thunbergi. Phragmites japonica and Phragmites communis were capable of coping with flow depth 0.9 m, flow velocity 1.5 m/s and with flow depth 1.0 m, flow velocity 0.9 m/s, respectively. Miscanthus sacchariflorus was capable within the region of flow depth 1.0 m and flow velocity 0.6 m/s. Persicaria blumei and Persicaria thunbergii were less capable than the other aquatic plants and were vulnerable exceeding the water depth of 1.0 m. Habitat regions by the flow response of each plants were suggested.
목차
1. 서 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Variation of Flow and Filtration Mechanisms in an Infiltration Trench Treating Highway Stormwater Runoff
- 토양의 수분과 유기물이 멸종위기식물 큰바늘꽃(Epilobium hirsutum L.)의 번식계절 및 생리 반응에 미치는 영향
- GIS를 기반으로 한 농촌 마을습지 판별 및 분포 특성 연구 - 충남 서천군을 사례로 -
-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Nutrients Removal in Hybrid Constructed Wetland Treating Stormwater Runoff
- 건물 높이를 고려한 SWMM 모형의 강우-유출해석 방법 제안
- 도심하천 수생식물의 흐름에 대한 대응 분석 및 식재영역 결정
- Performance Assessment and Design Evaluation of Bioretention Planter Boxes Treating Urban Stormwater Runoff
- Water Quality Analysis and Evaluation of Management Strategies and Policies in Laguna Lake, Philippines
- 멸종위기 식물인 갯봄맞이 최남단 군락의 식생구조
- 강우의 공간분포를 고려한 SWAT 모형의 적용
- 국내 비점오염 관련 연구 동향 및 향후 연구방향 제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제12권 제2호 목차
- 해안지역 홍수예측 및 위험관리를 위한 GIS-딥러닝 통합 시뮬레이션 체계 구축
- 서남해 인근 해역의 계절별 통항특성에 기반한 선박과 해상풍력발전단지의 안전이격거리 설정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