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옥외광고법의 평가와 내거티브 규제 적용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36
- 영문명
- A Study of Experts’ Perception of OOH Media Advertising Regulation : Focused on the Outdoor Advertising Laws
- 발행기관
- 한국광고PR실학회
- 저자명
- 김운한 이형석
- 간행물 정보
- 『광고PR실학연구』제11권 제2호, 30~61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5.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6년 개정된 옥외광고법의 실효성에 대해 일부 회의적인 시각이 있어 후속 규제 방향과 법 보완에 관한 시사점을 찾고자 했다. 이를 위해 삼각검증법을 통해 옥외광고 미디어사, 광고대행사, 공공기관, 교수 등 이질적인 전문가 집단을 선정해 심층면접을 실시했다. 심층면접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규제 방향으로는 산업 진흥 관점의 규제 완화와 생활환경보호 관점의 규제 강화 의견이 비슷한 정도로 제시되었으며, 각 방향성은 규제방식과 맞물려 제안되었다. 둘째, 규제방식은 자율 규제를 방향으로 하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순차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셋째, 옥외광고법은 산업 진흥에 대한 기여도가 낮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법률에 대한 이분법적 평가와 별개로 현재 법안이 보완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로 나타났다. 업계에서는 이른바 네거티브 규제를 추구하되 그 실행을 보완하는 정부의 지원정책이 필요하다는 절충적 네거티브 전략이 제시되었다. 넷째, 옥외광고 분쟁 조정에 관해서는 이익집단 간 조화를 중요시하여, ‘도시경관 및 생활환경 보호’ 측면과 ‘옥외광고 산업 진흥 및 경제 활성화’ 측면이 조화되는 방향에서 정책 보완과 의견 중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수집된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의미 있는 논거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find relevant and effective regulatory polici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experts according as skeptic views toward the Revised OOH media advertising laws arose. For in-depth interviews, triangulation method is conducted to select groups possibly different in opinions. Interviewees include personnels from media representative of OOH media advertising, advertising agencies, public institutions, and profess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regulation compared with regulation strengthening is reportedly recommended. Second, self regulation is reportedly
preferred under condition that methods to settle problems should be proceeded sequentially. Third, the revised OOH media advertising laws are considered to dedicate relatively little in perspective of the improvement of OOH media advertising industries, thus some implementation should be devised. In parallel with this, so-called negative regulation systems are desirable and OOH media advertising laws can be possibly ‘re-revised’, if in a conciliatory approach. Fourth, harmonious methods are needed to be pursued and both substitutional policies and mediation of conflicts are accordingly required. Based on the results, some significant suggestions are recommended.
목차
문제 제기
이론적 배경
연구문제
연구방법
연구 결과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비자의 사고경향이 노스탤지어 인식과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 노블티와 적합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빅 히스토리 : 생명의 거대사, 빅뱅에서 현재까지
- VR경험이 VR광고캠페인 효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공감능력의 조절적 영향을 중심으로
- 광고의 변화 : 8가지 성공사례로 배우는 효과적인 광고만들기
- The Role of Dark Triad Personality in Comedic Violence Ads
- 기업의 사회적 책임 광고(CSR) 효과 연구 : 광고유형, 기업 명성, 브랜드ᐨ공익 관련성을 중심으로
- 한류가 국가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문화차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지상파 방송 중간광고 재도입에 관한 광고주 인식 조사 : 광고주 규모에 따른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 옥외광고법의 평가와 내거티브 규제 적용성에 관한 연구
- 소비자가 인지하는 검색 대응형 네이티브 광고의 가치와 재사용 의도 : 파워콘텐츠 상품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경비지도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기계경비시스템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 민간경비 분야 효율성 증대를 중심으로
- 산업기술 유출 의도의 심리적 예측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TCI 기질과 합리적 선택 이론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