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데이터기반개별화(DBI)의 특성과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문헌 연구
이용수 353
- 영문명
-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Data-Based Individualization on Student Achievement: A Literature Review
- 발행기관
- 한국학습장애학회
- 저자명
- 정평강
- 간행물 정보
- 『학습장애연구』제15권 제1호, 165~19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4.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 및 장애위험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데이터기반개별화(data-based individualization, DBI)의 특성과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기반개별화 연구의 일반적 특성 및 효과를 정리하고, 데이터기반개별화를 구성하는 요소인 진전도 모니터링, 교수, 교수적 의사결정, 그리고 교사교육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았다. 문헌 선정 기준을 만족하는 총 21편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 DBI 연구는 주로 집중적인 개별화교수가 필요한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기초학습영역(읽기, 쓰기, 수학)에서 학생들의 성취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DBI를 적용하는 동안 성취도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거나 교수적 수정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전략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을 때, 교수적 수정의 질적 특성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며, 학생의 성취도도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데이터기반개별화에 대한 향후 연구 및 국내 특수교육 현장에의 적용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a literature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s of data-based individualization (DBI) on academic performance for students identified as at risk or having disabilities. General characteristics of DBI research and its effects on student performance and instructional structure were summarized. In addition, specific characteristics of DBI were summarized in terms of progress monitoring, intervention, instructional decision making, and teacher support. A total of 21 studies which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reviewed. The majority of DBI research was conducted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need the most intensive individualized instruction. It
appears that DBI significantly improved student performance in reading, mathematics, and writ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quality of instructional structure when teachers were provided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student performance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when instructional changes were warranted, leading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student performance.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in South Korea is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데이터기반개별화(DBI)의 특성과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문헌 연구
- 보편적 선별(Universal Screening) 측정 주기의 검증: 어절 선택 CBM을 활용하여
- 초등학교 3, 4학년 학생의 읽기장애 판별과 교사평정을 활용한 읽기이해 특성 분석
- 성취집단 수준별 전년도 학업성취와 학습풍토 및 학교풍토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의 차별적 특징 분석
- 한글 파닉스 교수가 난독증 아동의 철자와 자모지식, 음운처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수학부진학생을 위한 ‘재미난 분수’ 가상조작물 웹사이트 개발 및 가상조작물-반구체물-추상기호의 명시적이고, 순차적인 교수 효과
- 학습곤란(ld) 학생을 위한 교육지원의 확장적 전환: 학습장애(LD) 정의 체계 재구조화
- 고교졸업반 탈북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수학 멘토링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경계선급 지적 기능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