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흰쥐에서 내측 편도핵의 전기 자극에 의한 췌액 분비 증가 기전
이용수 3
- 영문명
- Mechanism of Pancreatic Secretory Response to Electrical Stimulation of Medial Amygdaloid Nucleus in Rats
- 발행기관
- 대한생리학회
- 저자명
- 윤신희(Yoon, Shin-Hee) 한상준(Hahn, Sang-June) 조양혁(Jo, Yang-Hyeok)
- 간행물 정보
- 『대한생리학회지』제23권 제2호, 401~40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89.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an electrical stimulation of medial amygdaloid nucleus in rats increases pancreatic secretion. And an involvement of vagus nerve or plasma secretin in this process was also studied. In fasting rats anesthetized with urethane, a monopolar stainless steel electrode was stereotaxically inserted into the right medial amygdaloid nucleus. Pancreatic juice was collected for 20 minutes, during which physiological saline or 0.01 N HCI (0.18 ml/min) was perfused into the duodenum with or without bilateral subdiaphragmatic vagotomy. In the medial amygdaloid group, an electrical stimulation wa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medial amygdaloid nucleus during the perfusion period. After collection of pancreatic juice, blood was drawn from the abdominal aorta for determination of the plasma secretin lev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electrical stimulaion of the medial amygdaloid nucleus did not influence the pancreatic secretion in response to intraduodenal saline perfusion. 2) The stimulation of the medial amygdaloid nucleu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ancreatic secretory response (volume, bicarbonate output) to the intraduodenal 0.01 N HCI perfusion, and the increases were abolished by vagotomy. 3) The plasma secretin concentration after the intraduodenal 0.01 N HCI perfusion was higher than that after the saline perfusion. However, neither the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medial amygdaloid nucleus nor vagotomy affected the plasma secretin concentration during the intraduodenal perfusion with saline or 0.01 N HCI. It is, therefore, suggested that the medial amygdaloid nucleus facilitates the pancreatic secretion (volume, bicarbonate) elicited by intraduodenal HCI perfusion through the vagus nerv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쥐의 좌심방에서 세포막을 통한 Ca2+ Flux에 영향을 주는 약물이 자극빈도-장력 곡선에 미치는 영향
- 토끼 심방근 세포막의 Na/Ca교환 비율에 관한 연구
- 장기간 고염 섭취한 SHR 고혈압 쥐에서, 급성 혈장량 증가에 대한 Atrial Natriuretic Peptide, Aldosterone 및 Renin 분비 반응의 비교
- 흰쥐에서 내측 편도핵의 전기 자극에 의한 췌액 분비 증가 기전
- 신동맥내 투여한 Angiotensin II가 신장기능 및 Renin 분비에 미치는 영향
- 내측 편도핵의 위산분비 촉진작용에서 미주신경의 역할
- 위 평활근의 부위별 전압-장력 관계에 관한 연구
- 고양이 회장 종주근에서 Na-Ca 교환 기전의 특성에 관한 연구
- 가토 신동맥의 고농도 Histamine에 의한 노아드레날린 유발 수축 및 K-경축 약화 기전
- 단일심근 세포의 활동전압 및 막전류에 대한 Na-Ca 교환기전의 영향
- Myogenic Autoregulation of Coronary Vessels and Heterometric Autoregulation of the Myocardium
- 상지구심성 입력에 의한 요수팽대부 척수세포의 활성화
- 수축과 활동전압의 Staircase 현상에 대한 Ca-전류 및 세포내 Ca2+ 농도 변화의 영향
- 가토의 신장기능과 Renin 분비에 미치는 Adenosine수용체 차단제의 영향
- 기니피그 위점막이 카테콜아민 유발 위운동에 미치는 영향
- 암모니아가 가토심방근 및 동방결절세포의 활동전압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