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슐린의 포도당 이동 촉진 기전에 관한 연구 -세포내부 미세구조와 Cytochalasin B 결합단백질의 분포-
이용수 10
- 영문명
- A Study on the Mechanism of Insulin Sensitivity to Glucose Transport System: Distribution of Subcellular Fractions and Cytochalasin B Binding Proteins
- 발행기관
- 대한생리학회
- 저자명
- 하종식(Hah, Jong-Sik)
- 간행물 정보
- 『대한생리학회지』제24권 제2호, 331~34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0.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What makes glucose transport function sensitive to insulin in one cell type such as adipocyte, and insensitive in another such as liver cells is unresolved question at this time. Recently it is known that insulin stimulates glucose transport in adipocytes largely by redistributing transporter from the storage pool that is included in a low density microsomal fraction to plasma membrane. Therefore, insulin sensitivity may depend upon the relative distribution of gluscose transporters between the plasma membrane and in an intracellular storage compartment. In hepatocytes, the subcellular distribution of glucose transporter is less well documented. It is thus possible that the apparent insensitivity of the hepatocyte system could be either due to lack of the constitutively maintained, intracellular storage pool of glucose transporter or lack of insulin-mediated transporter translocation mechanism in this cell. In this study, I examined if any intracellular glucose transporter pool exists in hepatocytes and this pool is affected by insulin. The results obtained summarized as followings: 1) Distribution of subcellular fractions of hepatocyte showed that there are 24.9±1.3% of plasma membrane, 36.9±1.7% of nucleus-mitochondria enriched fraction, 23.5±1.2% of lysosomal fraction, 9.6±1.0% of high density microsomal fraction and 4.9±0.5% of low density microsomal fraction. 2) In adipocyte, there were 29.9±2.6% of plasma membrane, 19.4±1.9% of nucleus-mitochondria enriched fraction, 26.7±1.8% of high density microsomal fraction and 23.9±2.1% of low density microsomal fraction. 3) Surface labelling of sodium borohydride revealed that plasma membrane contaminated to lysosomal fraction by 26.8±2.8%, high density microsomal fraction by 8.3±1.3% and low density microsomal fraction by 1.7±0.4% respectively. 4) Cytochalasin B bound to all of subcellular fractions with a Kd of 1.0 X 10-6M. 5) Photolabelling of cytochalasin B to subcellular fractions occurred on 45 K dalton protein band, a putative glucose transporter and D-glucose inhibited the photolabelling. 6) Insulin didn t affect on the distribution of subcellular fractions and translocation of intracellular glucose transporters of hepatocytes. 7) HEGT reconstituted into hepatocytes was largely associated with plasma membrane and very little was found in low density microsomal fraction which equals to the native glucose transporter distribution. Insulin didn t affect on the distribution of exogeneous glucose transporter in hepatocytes.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insulin insensitivity of hepatocyte may due to lack of intracellular storage pool of glucose transporter and thus intracellular storage pool of glucose transporter is an essential feature of the insulin ac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성 고혈압 백서 심방의 심방이뇨 호르몬분비 특성
- 토끼 기관평활근 수축에서 G Protein의 역할
- 흰쥐에서 배측 봉선핵의 전기자극이 췌장의 외분비기능에 미치는 영향
- 인슐린의 포도당 이동 촉진 기전에 관한 연구 -세포내부 미세구조와 Cytochalasin B 결합단백질의 분포-
- 토끼 신피질 절편에서 PCMB가 유기이온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
- Treadmill 최대 운동시 Impedance 심장기록법의 개선에 의한 마라톤 선수의 심박출량과 산소소비량과의 관계
- 토끼 심방근에서 Na-Ca 교환 전류에 대한 Bay K, cAMP, Isoprenaline 효과
- 한국산 무당개구리 피부에 존재하는 Bombesin 유사면역 반응물질의 순수정제 및 생물학적 활성
- Adenosine 유사체의 신장효과에 미치는 Adenosine 차단제의 영향
- 가토 신동맥 평활근에서 Strontium의 Calcium 대행역할
- 소금 섭취량을 달리한 정상 및 고혈압쥐에서 Atrial Natriuretic Peptide가 혈압, Renin-Aldosterone 및 신배설에 미치는 영향
- 가토 신동맥 평활근에서 Barium의 수축작용
- Allyl Isothiocyanate 유발 피부염에 의한 척수후각세포의 활동성 변동
- 척수전근내 구심흥분을 받는 척수신경세포의 생리학적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