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Nucleotides가 세포막 투과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
- 영문명
- Effects of Various Nucleotides on the Membrane Permeability
- 발행기관
- 대한생리학회
- 저자명
- 이중우(Lee, Joong-Woo) 정성우(Jeong, Seong-Woo)
- 간행물 정보
- 『대한생리학회지』제23권 제1호, 13~2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89.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i) the action of various nucleotides on membrane permeability of rat red blood cell and hepatocyte for Na+ and Rb+ ii) the characteristics of purinoceptors on these cell membranes. Blood from Sprague-Dawley rats was obtained by carotid arterial cannulation. Red blood cells were then washed 3 times with saline at 4˚C. Hepatic parenchymal cells were isolated from rat livers by using a modification of the Berry and Friend (1969) method. For the Na+ influx studies, isolated RBC and hepatocyte were incubated in incubation medium containing 22Na+0.2 μCi/ml at 37℃. After various time intervals samples were removed from the incubation flask and washed out 3 times with ice-cold washing solutions. Cells were destroyed by adding Triton X-100 and TCA solution. After centrifugation, the supernatants were assayed for 22Na+ by gamma counter. 86Rb+ was used to simulate K+ in these K+efflux studies. Isolated hepatocytes were incubated for 60 min in the loading solution containing 86Rb+ 10 μCi/ml at 37℃. After loading, the cells washed out 3 times by centrifugation with washing solution. The cells were incubated in buffer solution at 37℃. At intervals thereafter, samples were removed and centrifuged. The supernatants were analyzed for 86Rb+ by liquid scintillation counter. The main results of the experiments were: 1) ATP and ATPP increased in both 22Na+ influx and 86Rb+ efflux in the red blood cell. Although ADP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in RBC membrane permeability for 22Na+ and 86Rb+, the chang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2) The Significant changes in 22Na+ and 86Rb+ flux by ATP were also demonstrated in hepatocyte. ATPP and ADP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in hepatocyte membrane permeability for both ions. 3) Other nucleoside triphosphates-ITP, GTP and CTP-did not change in membrane permeability for 22Na+ and 86Rb+ in RBC and hepatocyte. In conclusion, not only ATP but also ATPP activate purinoceptors and change in membrane permeability for Na+ and K+. In order to activate purinoceptors on the cell membrane, the nucleotides have to possess intact adenine moiety and three phosphates or more in its molecul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Kidney, 1-Clip Goldblatt 흰쥐에 있어서 고혈압 발생에 미치는 Atrial Natriuretic Peptide 의 영향
- Prostaglandin F2α가 가토 대동맥 평활근 수축성에 미치는 영향
- Nucleotides가 세포막 투과도에 미치는 영향
- Mouse Egg의 안정막전압과 Pump 활동에 대한 양이온의 효과
- 심근 정지 용액이 심근의 에너지원에 미치는 영향
- Actions of Ca Antagonists on the Voltage Dependent Ca Channel in Mammalian Smooth Muscle Cell Membranes
- 방사면역측정을 위한 항 Gastrin 혈청의 생산 및 평가
- 고양이 척수 전근내 감각신경 자극으로 유발된 승압반응의 생리학적 특성
- 한국에 서식하는 무당개구리의 피부에서 추출된 Bombesin 유사물질의 분자적 이질성 및 생물학적 활성
- 흰쥐에서 내측 편도체가 위산 분비와 혈장 Gastrin 농도에 미치는 영향
- 피부염에 의해 유발된 척수후각세포의 Activity 변동에 관한 연구
- 연령증가에 따른 Atrial Natriuretic Peptide의 신장과 호르몬 효과
- 흰쥐 Tail Flick Reflex의 신경생리학적 기전
- Gentamicin이 적혈구막을 통한 Na+ 이동에 미치는 영향
- 신성 고혈압 백서에서 Atrial Natriuretic Peptide의 신장기능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