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酒精依存에서 性機能障碍의 機轉:外陰部神經 感覺誘發電位(Pudendal SEP) 硏究
이용수 7
- 영문명
- Mechanism of Sexual Dysfunction in Alcohol Dependence:A Pudendal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 Study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田珍淑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36권 제1호, 135~14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7.0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Sexual disturbances had been experienced in 8-63% of male alcoholics(Schiavi 1990;Jensen
1984). The possible etiologies of the sexual problems in alcoholics had been known to be hormonal
rather than neuropathic or psychosocial.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prevalence and the
mechanism of sexual disorders in alcohol dependence.
The sexual complaints were found in male in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n=28) using the
screening and diagnostic questionnaires for sexual problems, and then took blood samples to test for
liver function, lipid metabolism, anemia and diabetes, and questionnaires for depression. We also
measured serum testosterone levels by radioimmunoassay. The pudendal SEPs were measured by the
following procedures, in which we stimulated the dorsal nerve of penis attached by the ring electrode
(stimulus intensity;three times of threshold, stimulus rate 1-4.7Hz, stimulus duration 0.1 or
0.2msec), and recorded at the scalp(active electrode;2cm behind Cz, reference electrode;Fz).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ubjective complaints of sexual dysfunction were low desire 53.6%, disorders of excitement or
orgasm 42.9%(impotence 25.0%, premature ejaculation 17.9%).
2) Serum testosterone concentrations were not changed, even though reduced in 40% of alcoholics.
3) P1 and N1 latencies of pudendal SEPs in alcoholics were significantly delayed(p<0.05), and
showed no response(39.3%) or delayed response(60.7%).
4) Otherwise, vascular or hepatic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conclusion, chronic alcoholics might be suffered from subclinical sexual problems. The
mechanism of sexual dysfunctions seemed to be originated from the neuropathic factors rather than
hormonal or psychosocial ones.
목차
서 론
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결 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노인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의 신뢰도, 타당도 연구
- Clozapine에 의한 무과립구증
- 한국의 한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에서의 치매의 유병률
- 장기간 항경련제를 복용한 간질환자의 골대사 변화에 대한 연구 - DR-XRA(Quantitative Dual-Energy Radiography; X-Ray Absorptiometry)법에 의한 측정 -
- 酒精依存에서 性機能障碍의 機轉:外陰部神經 感覺誘發電位(Pudendal SEP) 硏究
- 정신분열병의 약물 유지치료 현황 - 서울, 경기 일원의 정신과 임상의들의 의견 -
- 수면무호흡증이 혈압에 미치는 영향
- 한 종합병원 내과에 입원한 노인환자에서의 치매와 섬망에 대한 연구
-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Haloperidol이 혈청 Interleukins 농도에 미치는 영향
- 정신분열병 환자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
- 정신분열병 환자의 환시에 관한 임상적 연구
- 주치의 중심의 통합적인 입원환자 집단정신치료 모델
- 정신과 영역에서 삶의 질에 관한 고찰
- 북한탈북자들의 남한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 난민들의 정신건강과 생활적응에 대한 고찰 및 한반도 통일과정에서 전망과 대책
-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 (REHACOM)을 이용한 주의력 훈련의 효과
- 아침형-저녁형의 측정을 위한 한국어판 조합척도의 예비연구
- 흡연 학생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약물남용 프로그램의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