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분석, 과학인가 문학인가?
이용수 111
- 영문명
- Psychoanalysis is Science or Literature?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이병욱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45권 제6호, 493~50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1.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sychoanalysis can be considered as the condominium between the medicine and the literature, or the natural science and the human science, because it nowadays seems to be a kind of the 3rd alternative medicine. Psychoanalysis is obviously psychological therapeutic methodology for the various psychogenic mental conditions through the psychological approaches, nevertheless
it has been ignored to many clinicians for the reason of the unscientific theoretical basis. But now we know that some neurologists and psychoanalysts have been cooperative to explore the so-called neurodynamics and neuro-mechanisms for the psychological phenomena in the analytic situations. Why not psychoanalysis is a science? And what is science?
We are sure that our psychic world can not be easily confirmed by scientific methodology, but I think that theory without practice is empty, and practice without theory is blind. Therefore I believe that contemporary many neuro-psychoanalytic researches will show us some clues to psychoanalytic theory and techniques, but there shall be many limitations. More deeply we explore the human psyche, more we can not assure that
목차
머 리 말
자연과학과 인문과학
詩的 科學으로서의 정신분석
프로이트의 신경학적 배경
프로이트의 심리학적 배경
신경학과 정신분석의 통합
정신분석과 문학의 유사성
정신분석과 문학의 차이점
정신분석과 문학의 치유효과
맺 음 말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와 양극성장애 공존 환아군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환아군의 비교연구
- 중국 한족과 조선족 초등학생의 신체 폭력 경험(II):위험 요인의 횡문화적 비교
- 한국판 임상가용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정신과 외래환자의 약물치료 반응과 심박동 변이의 변화 양상
- 신체화장애 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심리적 특성
- 고용량 퀘티아핀과 관련된 갑상선 이상 및 발작 발생 사례 1예
- 스트레스 반응 척도의 수정판 개발 및 타당화 연구:근로자 대상
- 한국판 섬망 평가 척도-98(K-DRS-98)의 표준화 연구
- 성인 인터넷 중독자의 기질 특성
- 정신분석, 과학인가 문학인가?
- 중추신경자극제를 사용할 수 없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에서의 Modafinil 효과 - 예비 연구
- 주요우울장애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우울증상, 설명양식 및 역기능적 태도
- 여성 암 환자의 실존적 경험에 관한 탐색적 분석
- 한국판 성인용 자기 보고형 및 관찰자 보고형 Young ADH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산학협동 정신약물연구의 윤리적 측면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