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질 및 애착유형이 청소년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82
- 영문명
- The Effect of Temperament and Attachment Type on Adolescent Test Anxiety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김소연 이영식 한덕현 남규탁 고복자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45권 제3호, 222~229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5.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Through mass survey with Seoul School Health Cent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any correlational
factors that affect test anxiety in individual’s temperament and attachment type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Methods:Subjects were 4,178 students from 6 middle schools, 5 high schools and 1 technical high school in this study from
May to June, 2005. Test Anxiety Inventory (TAI) by Spielberger, Revised Adult Attachment Scale (RAAS) by Collins and Read and Junior Temperament Character Inventory (JTCI) by Ludy were used in this study.
Results:Among 4 groups by sex and age, high school girls had the highest level of test anxiety and high school boys had the lowest level of test anxiety. The attachment subscor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ur groups. High school girls had higher social susceptibility but had lower novelty seeking subscores than high school boys. Middle school students revealed no meaningful differences of temperament between sex. Compared to low test anxiety group, high test anxiety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 anxiety subscores in attachment scale and high harm avoidance subscores in temperament scale. However, the results of other three subscores of temperament and two subscores of attachment were reversed. Anxiety subscore of attachment
and harm avoidance subscore of temperament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st anxiety score (r=0.26, r=0.32). However, other subscore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est anxiety score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scores were very low.
Conclusion:We concluded that, in temperament and attachment aspect,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test anxiety was harm avoidance temperament and the next important factor was anxious attachment.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요 약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질성 뇌장애 환자의 구조적 뇌영상과 비교한 저해상 전자기 단층 촬영 영상
- 우리나라 산재보험의 정신질환 인정실태
- 정신병원에 근무하는 행정직원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 연구: 국립정신병원 직원과 사립정신병원 직원의 비교
- 정신과 입원환자의 서비스 만족척도의 개발
- 탈북자의 남한에서의 삶의 질
- 정상인에서 양가감정과 관련된 뇌 영역:양전자방출단층촬영 상관 연구
- 급성기 주요우울장애 환자에서 Natural Killer T 세포
- 남한 내 북한이탈주민들의 3년간 사회의식 변화 및 생활 만족도에 대한 추적연구
- 기질 및 애착유형이 청소년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 정신분열병에서 사회인지의 개념과 신경생물학
- 정신분열병 입원 환자의 외상적 사건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유병률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