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도인지손상 환자에서 야간수면과 전두엽기능의 연관성
이용수 14
- 영문명
- Relationship of Nocturnal Sleep with Frontal Lobe Function in Mild Cognitive Impairment(MCI) Patients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김성재 정재석 주진형 이정희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47권 제3호, 254~262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5.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Nocturnal sleep disruption has been considered as a risk factor for cognitive impairment in the elderly. And the
frontal lobe dysfunction was suggested to predict the progression to dementia. We aimed to illustrate the relationship of nocturnal
sleep with frontal lobe function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patients.
Methods:Thirty MCI patients and 30 age- and sex-matched normal control (NC) subjects were selected. Frontal lobe function
tests including Stroop Test, Similarity Test, Digit Span Test (DST), and Benton Visual Retention Test (BVRT) were administrated.
Nocturnal polysomnography was done for each subject.
Results: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leep parameters and diagnostic distributions of sleep disorders between the MCI and NC groups. In MCI patients, the mean hypopnea index (HI) of the ApoE4 positive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ApoE4 negative group. In the NC group, the wake time after sleep onset (WASO)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DST score (r=-0.545). In the MCI group, WASO tende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imilarity Test score (r=-0.376, p=0.053),
and slow wave sleep amount (SW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error score of BVRT (r=-0.489).
Conclusion: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leep quality and frequency of SAS between the MCI and NC groups, the severity of SDB was higher in MCI patients with ApoE4 compared to those without ApoE4. In the MCI group, the difficulty in maintaining sleep was associated with decreased executive function, and the decreased SWS was associated with impaired working memory. The relationship of nocturnal sleep with the frontal lobe function in MCI patients appears to be different from that of normal elderly subjects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가상현실을 이용한 추론과제 수행 중 활성화된 뇌영역과 현존감과의 관계:기능자기공명영상 연구
- 경도인지손상 환자에서 야간수면과 전두엽기능의 연관성
- 서울시 아동을 대상으로 한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의 선별기준에 대한 연구
- 외래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댄스치료의 임상적 적용
- 아스퍼거 증후군의 진단과 관련된 혼돈들
- 장기간 이별 후 고대하던 가족과의 재회를 통한 정서적 해소효과
- 한국판 대칭 및 정리정돈 성향 척도(K-SOAQ)의 표준화 연구
- 한국인 만성 긴장형두통 환자에서 바이오피드백을 활용한 자율적 이완훈련의 효과
- 한국판 소아 양극성장애 설문지 2.0(Child Bipolar Questionnaire 2.0)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알코올 의존과 파킨슨병 병태생리에서의 살소리놀(Salsolinol)
- 사회공포증의 아형 분류와 가해형 사회공포증의 임상적 의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