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분 장애 환자에서의 P50 청각유발전위 연구
이용수 6
- 영문명
- Study on the P50 Auditory Evoked Potential in Mood Disorder Subjects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김건종 이남영 안용민 강웅구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49권 제5호, 516~522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Diminished suppression of the P50 response, a consistent finding in schizophrenia, has also been reported in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It is a promising endophenotype for schizophrenia, but its relationship to genetic liability in mood disorder is controversial.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event-related brain potential (ERP) indices of auditory processing and sensory gating in mood disorder and subgroups of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with or without a history of psychosis using the P50 dual-click procedure.
Methods The P50 auditory evoked potential response to paired stimuli was measured in 77 subjects with mood disorder (58 with bipolar disorder and 19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28 healthy controls. P50 parameters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ResultsZZP50 suppression in patients with mood disorder did not differ from that in the healthy subjects. Except for S1 latenc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50 parameters between the diagnosis groups. In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a history of psychosis made no difference to P50 parameters.
Conclusion P50 was not significantly impaired in patients with mood disorder. There has been much debate on the meaning of P50, and more studies including longitudinal within-subjects studies are warranted to clarify the meaning and mechanisms of P50.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정서유발 단어집의 개발
- 소아 원형탈모증 환아 어머니의 성격특성, 애착유형, 의사소통 방식
- 대한신경정신의학회에 의뢰된 사실조회 실태 조사
- 한의학에서 보는 정신병 정신병리에 대한 현대의학적 이해
- ‘정신보건법 제정’ 정책 결정 과정에 관한 연구 -앨리슨 모형의 적용-
- 입원하고 있는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낙인 극복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근로자지원프로그램 이용자와 비이용자의 생산성 차이에 대한 예비연구
- 다음증, 약물 남용, 섬망 등을 보이며 불안을 동반한 39세 남자 환자
- 우울증을 올바로 치료하기 위한 제언
-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SPECT 영상 판독 결과와 통계적 파라미터 지도 분석 결과와의 비교 연구
- 입원 중인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소시오드라마의 치료적 효과
- 기분 장애 환자에서의 P50 청각유발전위 연구
- Images in Psychiatry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청소년 온라인 도박중독의 실태 및 지역사회 개입 방안을 위한 질적 탐색 연구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All-Cause Mortality and Bleeding Risks Associated With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in Patients With End-Stage Kidney Disease and Depression: A Nationwide Cohort Study
-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in a Burned-Out Oncologist
- Indonesian Validation of the YouTube Addiction Scale Among Young Adul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