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한사회에 사는 탈북자의 정신장애 : 4 증례 보고
이용수 53
- 영문명
- Psychiatric Disorders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 Four Case Report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이화영 최지연 정용호 민성길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51권 제6호, 445~45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1.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ZZCases of psychiatric disorders are reported with a review of literature on mental
health problems in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MethodsZZ Four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a psychiatric hospital with major depression,
schizophrenia, bipolar affective disorder, or mixed disorder of conduct and emotions of adolescent
were studied.
ResultsZZThe most common precipitating factor was the separation from close persons they
had been dependent on. Defector-specific stress included unfamiliar culture of South Korea, lack
of ability to adapt to South Korean society, uselessness of past education and professional skills,
stress with regard to being identified or discriminated as a North Korean defector, and guilt feeling
for leaving their family behind in North Korea. North Korean defector-specific clinical findings
were noted; these included reluctance to expose themselves as North Koreans, negative emotional
reaction to discrimination of South Korean neighbors, submissive and passive attitude, loneliness,
anxiety for the future related to refugee status, and strong stigma related to psychiatry.
ConclusionZZThis case report suggests that an individualized or tailored treatment that considers
their unique psychosocial situation, which especially focuses on discrimination and social
support, is needed for North Korean defectors with mental disorders.
목차
서 론
증 례
고 찰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터넷으로 시행한 벡 우울 척도 2판의 신뢰도와 타당도 : 대학생을 대상으로
- 일 도시지역 한부모가족 부모의 정신건강상태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
- 남한사회에 사는 탈북자의 정신장애 : 4 증례 보고
- 암환자들의 정신과 자문의뢰의 임상적 특성과 항우울제 사용에 대한 국내 다기관 연구
- 소아자폐증의 구성주의 철학적 접근
- 조현병에서 인지행동치료의 적용
- 정신의학 영역에서의 통섭의 개념
- 알코올 금단 섬망의 발생 및 경과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
- 한국판 Barratt Impulsiveness Scale-11-Revised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일반성인집단을 중심으로
- 한국어판 대인관계 지지 평가 목록(ISEL-12)의 신뢰도와 타당도
- 약 10주간의 입원 치료 프로그램을 완수한 병적 도박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 : 치료 후의 우울, 불안 상태 변화
- 혈액투석 환자에서 리질리언스가 우울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 정신건강서비스 요구도와 실제 이용과 연관된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정서 및 행동상의 요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 청소년 온라인 도박중독의 실태 및 지역사회 개입 방안을 위한 질적 탐색 연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Comparison of Frequency-Specific Transcranial Alternating Current Stimulations on 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Predicting 5-Year Survival and Mortality in Dementia Patients: A Data-Driven Approach Using XGBoost for Enhanced Care and Resource Allocation
- Online Aggressive Behavior, Self-Harm Behavior, and Social Anxiet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 Sites Addictive Tendenc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x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