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경경제학과 정신의학 : 정량적 방법론의 적용
이용수 60
- 영문명
- Neuroeconomics and Psychiatry : Application of Quantitative Methodology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이선애 박선철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52권 제5호, 301~31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Neuroeconomics is an interdisciplinary field that seeks to explain human decision making using a
combination of research methods from neuroscience, (behavioral) economics, and cognitive and
social psychology. With recent advances in functional neuroimaging and computing power, neuroeconomic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examining psychopathology using a quantitative model
based on objective metric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theory of neuroeconomics
and to review the literature on its application to psychiatric research. First, the concept of
utility function in economic decision theory can be used to explain depressive symptoms with regard
to lack of interest in money. Second,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 uncertainty and risk
suggest that avolition and anhedonia can be expected to reduce the influence of uncertainty on
decision making. Third, some parametrically varied values of delay discounting show the relation
of discounted value to risk of addiction. Finally, economic game theory can provide a model including
social factors to address psychiatric conditions ; thus, it provides a useful framework for
the current diagnostic classification systems for consideration of interpersonal factors. We expect
that conduct of more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neuroeconomics and psychiatry will clarify
diagnosis and contribute to the description of psychiatric disorders
목차
서 론
경제학의 기본적인 개념
결론 및 요약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근거중심 한국형 우울증 약물학적 치료지침, 개정판(II) : 항우울제의 위약대비 효과, 항우울제간 효과차이 및 효과판정의 적정시점
- 성폭력 사건 특징에 따른 폭력 빈도에 관한 연구
- 낮병원 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치료충실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전향적 연구
- 근거중심 한국형 우울증 약물학적 치료지침, 개정판(III) : 항우울제의 증량, 교체, 병합 및 강화요법
- 아동기 외상이 초기 비적응적 스키마 범주에 미치는 영향
- 정신의학 문헌에서 살펴본 “조현(Attunement)”의 의미 : 현상학적-인류학적 시각에서 바라본 조현병
-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판 Conners 성인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평정의 신뢰도 및 타당도
- 신경경제학과 정신의학 : 정량적 방법론의 적용
- 양측성으로 교대하는 청각자극이 삽화성 기억 인출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 불안, 우울 및 인격특성이 항암화학요법 시행 중인 유방암 환자들의 오심, 구역, 구토에 미치는 영향
- 정신건강의학과 영역에서 사전동의
- Phendimetrazine 사용으로 유발된 정신증적 장애 및 의존 1예
- 관해기 I형 양극성장애 환자와 발병하지 않은 일차 친족에서 신경인지의 결함
- 신경성 폭식증 환자에서의 신체적 이상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