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판 DISC-IV에 따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진단에서의 정량 뇌파 소견
이용수 84
- 영문명
-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 Findings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ccording to Korean DISC-IV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김준원 김현진 한덕현 이영식 민경준 이건석 이재원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52권 제3호, 143~149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5.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ZZ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vailability of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 (QEEG) as an auxiliary diagnostic tool i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MethodsZZA total 95 participants completed examinations, which included Korean ADHD Rating Scale (K-ARS), Diagnostic Interview Schedule for Children Version IV-Korean Version (DISC-IV), and QEEG. From the result of the DISC-IV, we divided them into three groups, ADHD, ADHD NOS (not otherwise specified), and Normal control. The QEEG was analyzed by the ranges of Hz : delta (1-4 Hz), theta (4-8 Hz), alpha (8-12 Hz), beta (12-25 Hz), and high beta (25-30 Hz).
ResultsZZADHD NOS group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delta activity (NOSnormal, p=0.044) compared with normal control. ADHD group showed increased high beta activity (ADHD>NOS, p=0.043) compared with NOS group. The z-scores of relative power of theta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K-ARS at O1, O2 electrodes of ADHD group. On the other hand, the z-scores of relative power of high beta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K-ARS at F7, F8 electrodes of ADHD NOS group.
ConclusionZZWe confirmed QEEG abnormalities in ADHD patients, especially the difference between ADHD NOS and Normal control. Therefore, we expect to use QEEG as the valuable tool to diagnose ADHD accurately.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만성 폐쇄성 폐질환을 지닌 노인 환자에서의 우울증 유병률 조사
- 삼호 주얼리호 피랍 생존자들의 임상양상과 치료개입 : 증례보고
- 한글판 우울증 선별 도구 (Patient Health Qustionnaire-2)의 표준화 연구
- 대학생에서 우울, 불안, 자아존중감, 기질 및 성격특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글판 환자 거부 척도(K-PRS)의 표준화 연구: 신뢰도와 타당도
- 한국어판 DISC-IV에 따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진단에서의 정량 뇌파 소견
- 대학생에서 기질 및 성격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
- 한글판 차원적 강박척도의 표준화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