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공지능 알고리즘 거문고 산조의 실시간 연주 및 정간보 생성
이용수 181
- 영문명
- Real-Time A.I. Algorithm Geomungo Sanjo Player with Jungganbo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이미경(Mikyung Lee)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7호, 73~8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8.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Every country has her own culture and it s different from others even though the science is same. With continuous development of computer in 20th century, one of the things that many people has been thinking of, and wanted to implement is a computer-music interface. Since the properti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such as the random process and non-linearity of the network structure are well matched to those of music which is non-deterministic, coincidental and probabilistic, many computer programs concerning music and sound have been developed. These programs are, however, for much part, only about western music and instruments, but rarely focus on Korean traditional music. Since the view of sound and music between the western and the Korean traditional is very different, it is hard to adopt existing methods to analyze and play Korean traditional music. This thesis is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for Real-time A.I. Algorithm Geomungo Sanjo performance and simultaneous visualization of Jungganbo. It is based on Max/msp tools. Geomungo is a Korean traditional string instrument and Jungganbo is a Korean traditional score in Chosun Dynasty. Sanjo is a non-fixed form of Geomungo play, and its non-deterministic and non-patterned style is modeled with random process of A.I. Since Sanjo has large variation in playing, it was hard to be recorded with Jungganbo. Proposed program, however, solved this kind of problem by visualizing corresponding Jungganbo simultaneously.
목차
Ⅰ. 시작하면서
Ⅱ. 거문고의 특성
Ⅲ. 인공지능과 음악적 인터페이스
Ⅳ. 정간보와 실시간 인공지능 거문고 연주
V. 정간보 구현
Ⅵ. 정간보와 거문고 샘플의 매칭
Ⅶ. 인공지능 알고리즘 거문고 산조의 실시간 연주프로그램의 교육적 가치와 활용도
Ⅷ. 끝맺으면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지적 도제 이론에 의한 음악과 웹 기반 교수·학습 모형 및 시스템 설계
- 초등학교 음악과 수업에 나타나는 맥락적 지식
- 싱가포르 초등 음악교과서의 다문화적 경향 분석 연구
- 중등학교 수업관찰을 통한 음악지식의 컨텍스트적 요소 분석
- 국내 공연예술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모색
- 디지털시대의 새로운 창작문화
- 오르프 슐베르크를 활용한 프로그램이 음악적성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 알고리즘 거문고 산조의 실시간 연주 및 정간보 생성
- 초등학교 음악수업에서 활용되는 음악의 언어표현 분석
- Philip Glass의 영화음악 『The Hours』의 분석을 통한 미니멀리즘 음악 연구
- 실용음악교육의 동향과 실천적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조부모 전래동화 활용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교사 인식 및 실태 분석
- 사진, 회화 그리고 어린이
-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자연탐구영역의『힘과 운동』관련 과학활동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