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아 정신 약물학
이용수 2
- 영문명
- Pediatric Psychopharmacology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조수철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28권 제2호, 187~20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89.03.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During the last decade, the field of pediatric psychopharmacology has made a great progress, perhaps
mainly because of the advent of the DSM-III or DSM-III-R, improved research methodology, and
development of various rating scales. Increased concern has been raised regarding reliable diagnosis
and homogeneity of study populations, and in response to increased knowledge of the biology of
various clinical entities, various psychoactive drugs have been tried.
However, numerous questions still remain to be answered and future studies should be focused
on these questions.
1) While DSM-III-R has allowed for a greater cohesion and consistency in the diagnosis and study
of more reliable and homogenous subject groups, it is limited in its usefulness for childhood disorders.
The prospect is for an improvement in DSM-1V, leading further reciprocal advances between diagnosis
and medication specificity and efficacy.
2) Much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pharmacokinetics in pediatric populations.
3) The relationship between mechanism and site of action of drugs and aspects of etiology should
be elucidated.
4) Developmental or maturational factors such as ontogenesis of monoamines or neuropeptides
and their possible contributions to the phenomenology of illness and drug responses should be
studied.
5) Behavioral approaches and psychotherapies should be quantified, their efficacy compared with
pharmacology, and the interaction between nondrug and durg therapies should be answered.
                    목차
서 론
	                       
	                          Pharmacokinetics에 있어서 성인과 소아의 문제점들
	                       
	                          소아연령군에서 발견되는 정신질환에 대한 약물학
	                       
	                          부작용에 관한 연구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과 환자의 DST 및 TRH자극검사 반응에 관한 연구
- 소아 정신 약물학
- 고부문제에 대한 여성의 태도조사
- 종합병원 입원환자의 불안과 우울에 관한 연구
- 항정신병약물로 야기되는 초과민성 정신병에 관한 연구
- 육군 범법자들에 대한 정신의학적 특성 분석
- 응급실 내원 정신과 환자의 유발요인과 임상양상의 관계에 대한 고찰 - 신경증 환자를 중심으로 -
- 정신과 환자의 의료추구 행태에 관한 예비적 연구 一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一
- Loevinger의 자아발달이론에 관한 일 연구
- 일반성인에서의 생활 스트레스가 정신증상 및 신체에 미치는 영향
- 교도와 감호중인 범법자간의 도덕발달에 관한 비교 연구
- Carbamazepine과 Phenobarbital이 항정상태의 혈청 Haloperidol 농도에 미치는 영향
- 경련증상을 수반한 정신분열증 환자의 1례
- 정신분열병환자들의 치료순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항정신병 약물로 인한 좌불안석증의 Clonidine 치료 효과에 대한 예비연구
- 우울장애 환자의 혈장 Norepinephrine치
- Ethyl Loflazepate와 Diazepam 간의 항불안효과에 관한 이중맹(二重盲)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청소년 온라인 도박중독의 실태 및 지역사회 개입 방안을 위한 질적 탐색 연구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All-Cause Mortality and Bleeding Risks Associated With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in Patients With End-Stage Kidney Disease and Depression: A Nationwide Cohort Study
-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in a Burned-Out Oncologist
- Indonesian Validation of the YouTube Addiction Scale Among Young Adul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