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아 불안의 측정 - RCMAS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사-
이용수 1,084
- 영문명
- Assessment of Anxiety in Childre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최진숙 조수철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29권 제3호, 691~70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0.05.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RCMAS) was administered to 811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grade 4 to 6 to provid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for the use of the scale in Korea and to examine the structure and the dimensions of the
sc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tem-total correlations were between the range of .27—.57. Mean of the item-item correlation
coefficients was .103 and Alpha coefficient reliability estimate was .809.
2) Test-retest reliability coefficients was .794 and split half reliability coefficient was also
determined and were in the .821-.858 range.
3) In administering along with the STAIC,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STAIC-T
and RCMAS, STAIC-S and RCMASwere .691,.526 respectively, which suggests the validity
of the RCMAS especially as a measure of chronic manifest anxiety.
4) 5 Factor (4 anxiety factors and 1 lie factor) emerged on factor analysis, which accounted
for 35.4% of the total variance.
5) The 28 anxiety items yielded a total group means of 12.85 (S .D .: 5.67) and the 9 Lie
items yielded a total group means of 2.62 (S .D . 2.05). Anxiety score did not differ across
sex and grade. For the Lie scale,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by grade.
6) Compared with the foreign students, Korean students (both boys and girls) showed
significantly low scores on the Lie scale. Korean girl students showed lower scores on the
anxiety scale than American girl students.
목차
서 론
연 구 방 법
결 과
고 찰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방사선치료 중인 암환자들과 비암환자들 간의 정신병리의 비교
- 입원된 알콜리즘 환자의 정신병리 一 MMPI, SCL-90, HPRS를 중심으로 -
- 정신분열병의 청각유발전위에 대한 연구
- 정신과 병동의 강박처치에 대한 연구
- 아산화 질소(Nitrous Oxide) 남용으로 유발된 기질성 기분장애 1례
- Restless Legs Syndrome 3례
- 정신 치료에서의 어려운 상황
- 양성 및 음성 정신분열병환자의 신경심리학적 특징에 관한 비교연구
- 난폭한 환자의 치료
- 양성 및 음성 정신분열증 환자에서의 양이경청의 비대칭성
- 精神治療 經過에 따른 꿈 變形
- 우울증시의 혈장 Serotonin과 Norepinephrine치
- 사회공포증 분류의 일 시도
- 흰쥐의 절망행동 모형에서 항우울제의 효과에 미치는 Triiodothyronine(T3) 의 영향
- VIP 患者
- 입원한 행동장애군과 정상대조군의 어머니 양육태도에 관한 비교연구
- 암환자들과 비암환자들 간의 스트레스 지각의 비교
- 법무부 치료감호소 환자를 대상으로한 성염색체 연구
- 전기경련충격이 흰쥐 뇌의 Glutamine Synthetase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소아 불안의 측정 - RCMAS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사-
- 정신과적 약물치료의 어려운 상황들
- 전래의 속담에 나타난 과거 한국인의 자아방어기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