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계류의 소형보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 특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6
- 영문명
- Effects of small dam in a stream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 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 저자명
- 박혜경,이성재,정수아,정형래,김재근
- 간행물 정보
- 『한국습지학회지』제19권 제2호, 252~258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5.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계류에서 보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도림천 상류에서 계단식 구간(100m 당 3.02개의
보)과 비계단식 구간(100m 당 0.96개의 보)을 나누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정성, 정량 조사하였다. 평균 유속은 계단식
구간(0.043m/s) 보다 비계단식 구간(0.149m/s)에서 더 빨랐다. 정수역을 선호하는 파리목(Diptera)는 비계단식 구간(32%)보다
계단식 구간(78.3%)에서 더 많이 출현하였다(p<.05). 유수역을 선호하는 하루살이목(Ephemeroptera)는 계단식 구간(4.5%)보
다 비계단식 구간(14.1%)에서 더 풍부하게 출현하였다(p=.203). 날도래목(Trichoptera)는 종에 따라 출현하는 빈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주워먹는 무리(gathering-collector)비계단식 구간보다 계단식 구간에서 1.8배나 많이 출현하였다(p<.05). 반면 걸러
먹는 무리(filtering-collector)는 계단식 구간에서 약 4.4배 더 많이 출현하였다(p=.124). 균등도 지수(J')는 계단식 구간과 비계
단식 구간에서 각각 0.41과 0.77로 나타났다. 수환경을 평가하는 데 이용되는 한국오수생물지수 KSI는 계단식 구간과 비계단식
구간에서 각각 4.0과 2.4이었다. 군집의 균형성을 나타내는 EPT/C 지수는 계단식 구간과 비계단식 구간에서 각각 0.1과 0.7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소형보를 계류에 설치할 것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목차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계류의 소형보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 특성에 미치는 영향
- 수질오염총량을 이용한 생태계 수질조절 서비스 가치 평가
- 엔트로피 개념을 이용한 개수로에서 등류 및 부등류 흐름의 전단응력 산정
- 장기 배양법을 이용한 국내 하수처리장 유입 하수의 질소 성상 분석
- 습지 복원을 위해 하나의 대조지소로 선정된 둠벙의 식생
- 국내 하수처리장 관리대행 현황 및 제도 개선 방안
- 농촌관광마을 생태체험을 위한 연못형습지 식물의 한방 이용형태 분석
- 동림저수지에서 월동조류 개체군의 시계열적 변화와 환경 요인
- 3종의 탄소계 흡착제를 이용한 크롬 제거 특성
- 수리구조물에 의한 흐름 및 하상변동 연구 - 강정고령보를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2025년 정부 R&D 데이터를 활용한 지질자원 미래유망기술과 정부정책 연계 분석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개발 사업에 대한 미디어 분석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제12권 제3호 목차
-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연안 설계 풍속 추정: 마라도 지역 사례 연구
- 어류 생태 및 수리 특성 기반의 최적 서식환경 조성을 위한 인공어초 설치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