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Effect on a Weight-Control Belief and Weight Index Applying to Rational Emotive Behavior Program for Overweight Adolescents
이용수 2
- 영문명
- The Effect on a Weight-Control Belief and Weight Index Applying to Rational Emotive Behavior Program for Overweight Adolescents
- 발행기관
- 한국보건기초의학회
- 저자명
- 박충선
- 간행물 정보
- 『한국보건기초의학회지』제3권 제1호, 40~48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4.0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For the purpose of weight-loss of overweight adolescents,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For the two groups, 48 students, among a total of 520 second-grade students in a girls’ high school in M
city. Data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during a period of 4 months from March to June, 2008.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by SAS Package program and analyzed with wilcoxon two-sample test and ANOV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weight-related features are homogeneous.
2)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rational thinking, dietary self-efficacy,
sentiment toward exercise and regimen. 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rational thinking,
dietary self-efficacy, sentiment toward exercise and regimen after testing the influence of change for each experiment
period. 4)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weight index,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state after testing the influence of change for each experiment period.
목차
INTRODUCTION
METHOD OF RESEARCH
RESULTS
DISCUSSION
CONCLUSION
요 약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황칠나무 배양액이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당뇨생쥐에 미치는 영향
- 정상인의 교감신경 피부반응에 관한 전기생리학적 연구
- 시설 거주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The Effect on a Weight-Control Belief and Weight Index Applying to Rational Emotive Behavior Program for Overweight Adolescents
- 등장력 수축을 통한 근피로 유발 후 스트레칭과 TENS가 근 수축력의 회복에 미치는 영향
- 익수환자 조기 기본심폐소생술에 의한 소생 사례연구 - 증례 보고 -
- 대학 보건계열 학생의 중도탈락 의도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재활분야에서 실시간 근골격계 초음파의 적용에 관한 문헌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면역학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간호정보역량, 정보윤리 의식이 환자 개인정보 보호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혼종모형을 이용한 요양병원 간호사의 치료적 말벗간호에 대한 개념분석
-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대학생활적응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면역학분야 NEW
- Characteristics of imported and domestic malaria cases in Gyeonggi Province, Korea
- Levels of exposure markers among residents in environmentally vulnerable areas in Korea, the general population in Korea, and Asians in the United States
- Risk of non-cancer respiratory diseases attributed to humidifier disinfectant exposure in Koreans: age-period-cohort and differences-in-difference analys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