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사의 교권 침해 실태 및 개선 방안
이용수 184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호연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제69차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67~19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5.28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사가 된 것이 후회되는가? 라는 질문에 우리나라의 교사들은 어떻게 대답하였
을까? OECD에서 34개국을 대상으로 조사·발표하고 있는 교수-학습 국제조사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2013, 이하 TALIS 2013)에 의하면
우리나라 중학교 교사 중 ‘가르치는 일이 사회에서 가치 있는 일로 평가되고 있다’
고 응답한 비율은 66.5%로서, 대상국가 전체 평균이 30.9%에 그친다는 점에 비추
어 볼 때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수치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교사가 된 것을 후
회한다’는 응답(20.1%) 또한 전체 평균(9.5%)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
러한 현상에 대한 분석이 시급한 상황이다(OECD, 2014).
이렇게 되기까지의 과정에서 원인으로 가장 크게 대두되는 이슈가 교권의 침해
이다. 교육공무원법 제43조 제1항에 `교권(敎權)은 존중되어야 하며, 교원은 그 전
문적 지위나 신분에 영향을 미치는 부당한 간섭을 받지 아니한다”고 명시되어 있
으며, 교육기본법 제14조 제1항에 `학교교육에서 교원의 전문성은 존중되며, 교원
의 경제적?사회적 지위는 우대되고 그 신분은 보장된다”고 규정되어 있다. 교원은
단순히 지식만을 전달하는 존재가 아니라 미래사회에 적합한 인재를 가르치고 키
워야 하기 때문에 교원의 교권은 더욱 중요시되고 존중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실
은 그렇지 못하다는 상황을 앞에 제시한 연구의 결과가 보여주고 있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생태계 관점에서 교권 재정립의 방향 탐색
 - `유아교육에서 교권 관련 쟁점과 과제”에 대한 토론문 2
 - `초·중등교육에서 교권 보호 법제의 쟁점과 과제”에 대한 토론문 2
 - `초·중등교육에서 교권 보호 법제의 쟁점과 과제”에 대한 토론문 1
 - `교육 생태계 관점에서 본 교권, 학습권, 인권의 관계”에 대한 토론문 1
 - `교육 생태계 관점에서 본 교권, 학습권, 인권의 관계”에 대한 토론문 2
 - 교육 생태계 관점에서 본 교권, 학습권, 인권의 관계
 - `특수교사의 교권 침해 실태 및 개선 방안”에 대한 토론문 2
 - `유아교육에서 교권 관련 쟁점과 과제”에 대한 토론문 1
 - `특수교사의 교권 침해 실태 및 개선 방안”에 대한 토론문 1
 - 유아교육에서 교권 관련 쟁점과 과제
 - 초·중등교육에서 교권 보호 법제의 쟁점과 과제
 - 특수교사의 교권 침해 실태 및 개선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Farmers' Mobilization in the Shaanxi-Gansu-Ningxia Border Region During the Full-Scale War of Resistance Against Japan: An Analysis Based on the Psychological Demand Motivation Theory
 - The Theoretical Logic and Historical Orientation of Comprehensively Deepening Refor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letarian Revolution
 - Examining and Rethinking the Theory of Capitalist Justice in the Perspective of Materialistic Histor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