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장의 리더십과 학교조직가치 결합유형 간의 인과관계 분석
이용수 56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박세훈 이정로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23권 제3호, 95~11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1.0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장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조직가치의 결합유형 간의 인과관계를 구조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접근방법으로는 학교장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학교조직가치의 결합유형 간의 가설적 인과모형을 설정하여 구조방정식 분석 방법을 통해 그 가설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모형 분석결과에 의하면,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χ2값이 88.901(df=37, p=.000), RMSEA=.059, GFI=.963, AGFI=.933, RMR=.017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수용할 만한 권장수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학교장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조직가치의 결합유형 간의 가설적 인과관계 모형은 수용할 만한 좋은 모형으로 판단 내릴 수 있다. 특히, 구조모형에 나타난 잠재변인간의 검정통계량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변혁적 리더십관료적 결합(CR=-4.516), 변혁적 리더십문화적 결합(CR=18.949), 변혁적 리더십이완적 결합(CR=17.945), 거래적 리더십관료적 결합(CR=43.000) 간의 인과계수는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장의 리더십이 학교조직의 결합력 형성에 중요한 영향 요인임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학교조직의 문화적 결합력과 이완적 결합력 형성에 실증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즉, 학교장의 감화동기, 지적자극, 개별배려 등의 변혁적 행동들은 학교조직의 문화적 결합력과 이완적 결합력을 더 견고히 해 줄 것이다. 따라서 학교장은 학교조직의 효과성 증진을 위해 관료적 결합보다 문화적 결합력과 이완적 결합력을 결속시키는 결합기제의 개발에 심혈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목차
요 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학교장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
2. 학교조직가치의 결합유형
3. 학교장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학교조직가치의 결합유형 간의 관계
III. 연구 방법
1. 연구의 접근 모형
2. 연구 대상
3. 분석방법
4. 측정 도구
IV. 연구결과 및 해석
1.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이 학교조직가치 결합유형 하위변수에 미치는 영향
2. 학교장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조직가치의 결합유형의 인과모형 분석
V.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원의 정보통신기술(ICT) 활용 촉진요인에 관한 연구
- 유치원에서의 장학요원 효능감에 따른 원내 임상장학의 특성에 관한 연구
- NVivo를 활용한 전문가 교사와 예비 교사의 시각화 과정 특성 비교 분석 연구
- 소외 영재 지도교사의 성공적인 지능 교수효능감
- 예비 초등교사의 인지전략에 대한 자기결정성 동기의 상대적 기여도 분석
- 교원교육기준기반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 특수학교의 중·고등부 교사문화 분석
- 역대 정부의 사립학교법 개정과정에서 나타난 교육정책결정구조 분석
- 학교장의 리더십과 학교조직가치 결합유형 간의 인과관계 분석
- 교육분야 혁신연수의 통합적 평가모형 개발과 적용
- 초등학교 교사의 교사용 지도서 활용 방식에 대한 연구 : 두 명의 미국 교사를 중심으로
- 표준기반 교원평가와 전자포트폴리오의 역할: 미국사례 연구
- 개인적 실천 지식으로서의 교수기술의 의미와 형성과정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