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용산 새 국립박물관의 성과와 과제』에 대한 토론
이용수 127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저자명
 - 박영규
 - 간행물 정보
 - 『박물관학보』제21호, 252~254쪽, 전체 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0년은 왕실박물관이 건립된 지 100년 되는 해로「한국 박물관의 현황과 과
제」 연구는 한국 박물관의 지난 역사를 되돌아보고 미래에 대한 방향 설정을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은 국공립, 사립박물관의 연구, 전시 시설, 유물 수집, 교육, 운영?관
리 등에 있어서 선구자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모든 박물관들이 이를 표방하게 되었
고, 국립중앙박물관의 발전이 곧 한국 박물관의 발전이었다.
국립중앙박물관의 관람객 수, 시설 규모, 유물 관리, 예산, 인력, 학술활동 등등 박
물관 운영에 관한 여러 내용들을 통계 분석한 「국립중앙박물관의 성과와 과제」는
국립박물관의 중흥은 물론 한국 박물관 관계자 및 연구자들에게 박물관 건립, 운영,
관리 등에 새로운 지표가 되고 각 분야의 발전을 위한 밑거름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우리나라 공립박물관의 현실과 과제 』에 대한 토론
 - 국립중앙박물관문화재단의 역할과 ‘극장 용’의 마케팅
 - 『사립미술관의 현실과 과제』에 대한 토론문 -결론에 대한 추가 및 세부 제언-
 - 문화재교육의 프로그래밍 방법론에 관한 연구
 - 사립(私立)박물관을 생각한다
 - 『용산 새 국립박물관의 성과와 과제』에 대한 토론
 - 강원 영동지역 역사민속계 박물관의 유물관리 개선 방안 연구
 - 용산 새 국립중앙박물관의 성과와 과제
 - 우리나라 공립박물관의 현실과 과제
 -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박물관 전시 구조에 관한 연구
 - 사립미술관의 현실과 과제
 - 사립박물관의 공공성 실현을 위한 인증 및 인정기준 개발
 - 용산시대 국립중앙박물관 기획특별전과 전시콘텐츠 마케팅
 - 한국의 대학박물관 현실과 과제 - 현황과 특성화 사례를 중심으로 -
 - 『사립박물관의 공공성 실현을 위한 인증 및 인정기준 개발』에 대한 토론
 - 한국의 박물관, 현실과 과제
 - 수집 2세대의 박물관 전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노예제와 식민지 기념물에 대한 기억 논쟁: 콜베르와 갈리에니 동상 사례 연구
 - 제2차 국공내전기 중국공산당의 승리 요인 분석
 - 혜원 신윤복의 산수화 연구 Ⅱ - 단원 김홍도와의 관계와 영향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