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50, 60대 폐경 여성 연령별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와 생활습관 비교
이용수 15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기초간호학회
- 저자명
- 김희승 김혜령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제15권 제3호, 133~138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폐경 이후 여성은 복부에 지방이 증가되어, 혈당이 상승하며, 혈압 상승으로 이어지고, 고밀도콜레스테롤은 감소하고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저밀도 콜레스테롤은 증가한다(Carr, 2003). 이와 같은 체내 지방 분포의 변화는 인슐린 저항성을 높이게 되며, 결과적으로 폐경이 대사증후군의 위험인자로 작용한다. 폐경 후에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증가하면, 심혈관 질환의 이환율과 사망률 또한 증가하게 된다(Shin, Jee, Kim, & Kim, 2012). 대사증후군 환자는 복부에 집중되어 있는 지방조직이 하나의 내분비 기관으로 작용하여 유리
지방산과 안지오텐신 II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을 분비하여 간에
서 중성지방 합성 증가를 동반한 고밀도콜레스테롤의 감소를 가져
오고 췌장 손상과 혈관 수축 작용으로 인슐린 저항성과 고혈압을
유발한다(Opie, 2007).
여성에서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나이가 들수록 증가하며, 특히
폐경기인 50세를 전후해서 증가한다(Lee et al., 2005). 폐경 전에 한
국 여성을 대상으로 NCEP-ATP III 기준을 적용한 대사증후군 유병
률은 13.0% (Jeon et al., 2010), 갑상선 호르몬에 이상소견이 있는 대상
을 제외한 경우 8.69% (Joo, Son, Jung, Kim, & Lee, 2012)로 보고하고
있다. 남성에서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54세까지 증가하고 그 이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지 않고 오히려 감소한다. 그러나 여성의 경우
25세에서 44세까지는 남성보다 유병률도 낮고 완만하게 증가하다
가 45세부터는 남성보다 유병률 자체도 높아지고, 55세 이후는 급격
하게 증가하여 특별한 관리가 요구된다(Kim & Oh, 2007). 50세 이상
의 여성에서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높은 것은 폐경 이후 난소 부전
상태가 되면 혈중지질과 복부비만이 증가하여 혈당과 혈압이 상승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Lee et al., 2005).
영문 초록
목차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