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관심기반 선택모형에 근거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초중등 교사의 관심 분석
이용수 91
- 영문명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저자명
- 강운선
- 간행물 정보
- 『교과교육학연구』제21권 제1호, 47~5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2.0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George 등(2013)이 제안한 관심기반 선택모형에 근거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초중등학교 교
사들의 관심 수준을 밝히고, 성별, 연령, 학교급,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연수 경험 등의 변인이 관심 단계에 미치는 효과
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초중등학교 현직교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편의표집방법 중의 하나인 임
의표집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을 통해 얻은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인 관심수준에 관
한 집단 자료 해석을 통해 비사용자의 프로파일과 유사하지만,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운영 관심 단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체적인 관심수준에 관한 최고점 분석을 통해 무관심 단계(단계0)의 비율이 80%를 차지하며, 결과 관심 단계에 있는
교사는 한 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 근무경력, 근무 학교급 변인을 비롯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교내
연수 경험은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관심 단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과 범
교과 학습주제의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한 함의와 연구 한계 및 미래의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I.서 론
II. 관심기반 선택모형
III. 연구설계
IV. 분석결과
V.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