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디어교육을 통한 노인의 전환학습 이해
이용수 70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성인교육학회
- 저자명
- 박성관 김영석
- 간행물 정보
- 『Andragogy Today』제18권 제1호, 55~7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2.25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교육을 통해 발생하는 노인의 전환학습의 과정을 이해하고 관점전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결과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미디어교육에 참가한 65세 이상의 노인 8인을 대상으로 기본적 질적 연구(basic qualitative research) 방법을 통해 진행되었다. 주된 자료 수집은 인터뷰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반복적 비교분석법이 활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노인의 미디어교육은 자신 및 사회에 대한 비판적 성찰인 이성적 과정과 미디어의 활용에 대한 긍정적 정서 경험의 정의적(情意的) 과정을 거쳐 발생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참여자는 미디어교육을 통한 전환학습의 결과로 자기 자신에 대한 인식 및 성격적 기질의 변화를 통한 심리적 사고습관의 전환과 사회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갖게 되는 사회언어적 사고습관의 전환을 경험하였다. 본 연구는 미디어교육을 통한 노인이 전환학습이 비판적 성찰의 이성적 과정 이외에 긍정적 정서경험과 같은 정의적 과정을 거쳐 발생한다는 점을 밝혔다. 아울러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고 보다 다양한 세상의 모습을 미디어에 담는 미디어교육의 특성으로 인해 노년기에도 미디어교육을 통해 사고습관의 변화를 통한 관점전환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 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도입국 청년의 다문화 대안학교 학습경험 의미탐색
- 안정그룹 애착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영향력 인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공공조직 구성원의 팀 학습행동이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영향과 비판적 성찰 업무 행동의 매개효과
- 성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가 고등교육 참여성과에 미치는 영향:G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학령기 자녀의 아버지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 외국 출신 이주민을 포용하는 평생교육 쟁점 분석과 방향
- 미디어교육을 통한 노인의 전환학습 이해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사회적지지, 진로동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