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율학교의 자율권 활용실태 및 교육효과 분석
이용수 126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최금진 배장오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41권 제2호, 253~27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1.0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교 운영의 자율권과 탄력성을 확대하여 교육수요자 중심의 교육체제를 구축하고자 도입된 자율학교제도의 정책효과를 검토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운영 중인 자율학교의 유형, 유형별 현황 및 자율학교의 자율권의 내용을 고찰하였다. 또한 자율학교 지정 목적, 운영에서의 문제점, 자율권 활용도 및 자율학교의 교육적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자율학교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 자율권의 확대와 교육적 이상 실현을 위해 자율학교로 지정 받은 학교가 대부분이지만 이들 자율학교는 교육재정 및 시설부족과 시․도 교육청의 일반학교와 동등한 각종 규제, 교사들의 업무과다 등 운영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자율학교에 부여된 자율권은 여러 가지 제약으로 인해 그 활용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율학교의 도입 취지를 살리고, 그 교육적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자율학교에 대한 행․재정 지원 및 교육목적에 따른 교육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적절한 시설확충이 요구되며, 자율학교에 부여된 자율권의 범위를 더욱 확대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목차
I.머리말
	                       
	                          II.이론적 배경
	                       
	                          III.연구방법
	                       
	                          IV.결과분석 및 논의
	                       
	                          V.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격 교육학에서의 “교육적 인간관계이론”
 - 일제시기 관변 교원단체의 형성과정과 그 사회적 기능
 - 한국 성교육의 한계와 향후 과제
 - 교원 ‘전문성’과 ‘질’이 개념 및 개선전략 탐색
 - 개화기수신서에서의 성 정체성(gender-identity)
 - 지능에 대한 교육사회학적 이해와 비판적 논의
 - 자율학교의 자율권 활용실태 및 교육효과 분석
 - 웹에서의 지식구축을 위한 공동저술 활동에 관한 연구
 - 모의실험에 의한 대학입학수학능력시험 선택과목 점수 동등화 방법들의 적합성 비교(Ⅱ) : 동등화 점수의 표준편차와 공통과목 점수별 선택과목 평균점수의 분석
 - 합리성의 대화적 추구와 교육
 - 소년원 학교 교육과정의 특성과 문제점 : 대안교육 특성화학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교육과정 탐구 주제로서의 교사 전문성 논의에 대한 대안적 관점
 - 學校組織에서 道德的 指導性이 組織健康에 미치는 영향
 - 웹 환경에서 그래픽 자료유형과 아동의 인지양식이 수학과 공간지각력 형성에 미치는 효과
 - 자율적 학업동기,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간 관계의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 지식기반 사회에서의 철학적 탐구공동체를 통한 유아 사고력 계발 방법 연구
 - 대학생의 학업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 기관 특성의 탐색적 분석
 - 학교통계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모색
 - 교육과정 개정 사례를 통해서 본 교육과정 개발체제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
 - 청소년의 사회심리적 특성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 韓國 中等私學의 成長
 - 적응유연성 연구의 전망: 개념 및 방법론적 문제와 학교 : 기반 예방을 위한 시사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