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教育의 機能的 自律性과 現代教育의 問題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李敦熙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19권 제1호, 5~1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81.01.0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現代社會의 敎育, 특히 제도적으로 운영 되는 公敎育體制는 기능적 복합체로서의 한 사회와 그 성원들의 삶을 위하여 그 본연의 기능을 다하고 있는가? 이 질문에 대한 결론적인 당을 쉽게 얻을 수 있는 것은 결코 아니지만, 현대교육의 生理와 病理를 체계적으로 확인하고 진단하는 데 요구되는 기본적인 관점이나마 밝혀 볼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왜냐하면, 내가 생각하기에 현대교육은 기능적으로 매우 혼란관 상태에 있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그 혼란은 주로 교육에 관여하는 사회적 집단들이 교육의 목적과 이에 따르는 프로그램의 운영에 있어서 역할상의 편협성과 모호성올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라고 짐작된다. 말하자면, 현대사회의 제도적 교육은 여러 관심집단을 가지고 있고, 그 집단들 간에는 전문적 기능과 역할에 있어서 서로 침해현상을 빚고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교육의 전문가집단도 그 機能的 自律性을 행사하는 데 대단한 제약을 받고 있다. 그것은 교육계 내외의 교육에 대한 편협된 인식에 연유한 것이기도 하다.
필자는 여기서 그 기능적 혼란의 배경과 현실적인 특징을 밝히고, 교육에 관여하는 사회적 집단들의 역할상의 편협성과 모호성을 극복하기 위한 기본적인 조건들을 제시하고, 이를 정당화 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목차
1
2
3
4
5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연쇄적 베이지안 추론을 적용한 학습전략 사용 및 효과 판단의 착각현상 분석
- 중국인 유학생 대상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K대학교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 일상 속 인성덕목을 반영한 유아인성교육 실천방안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