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체된 시화 인공습지와 해수유통이 활발한 강화 갯벌에서의 혐기성 유기물 분해능 및 분해경로 비교
이용수 12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 저자명
- 김성한 목진숙 정정호 장윤영 최광순 현정호
- 간행물 정보
- 『한국습지학회지』제9권 제1호, 1~1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1.0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정체된 환경인 시화 인공습지와 조석에 의한 흐름이 존재하는 강화도 갯벌에서 혐기성 유기물 분해능과 분해경로 중 황산염 환원과 철 환원의 상대적 중요성에 대해 비교하고, 조절요인으로서 퇴적물 상층수 흐름의 중요성을 토의하였다. 퇴적토 상층수의 흐름이 존재하지 않는 시화 인공습지의 공극수에서 CO2, NH4+, 및 H2S의 농도가 강화도 갯벌에 비해 각각 3 배, 20 배 및 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퇴적물의 산화-환원의 정도를 알 수 있는 Fe(III)와 총 환원된 황의 농도 비는 강화도 갯벌이 시화 인공습지에 비해 12배 이상 높은 값을 나타내어 강화도 갯벌이 시화 인공습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산화된 상태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혐기성 유기물 분해능은 강화도 갯벌 (0.039 mM C h-1)이 시화 인공습지 (0.0001 mM C h-1) 보다 약 390배 높은 값을 보이고 있다. 유기물 분해경로에서 황산염 환원력은 시화인공습지 (314 ~ 580 nmol cm-3 d-1)가 담수습지임에도 불구하고 강화도 갯벌 (2 ~ 769 nmol cm-3 d-1)과 같은 높은 값을 나타낸 반면, 철 환원력은 강화도 갯벌 (0.1368 µmol cm-3 h-1)이 시화 인공습지 (0.087 µmol cm-3 h-1) 보다 약 1.7배 높은 값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시화 인공습지에서는 전자수용체가 적절히 공급되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이의 개선을 위해서는 강화도 갯벌의 조석과 같은 상층수의 흐름을 조절하는 것이 필수적인 사항으로 인식되었다.
                    영문 초록
목차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3. 결 과
	                       
	                          4. 토 의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ffects of Compost Tea Making from Differently Treated Compost on Plant Disease Control
- Prospects of Activated Sludge Process in Japan - Its Past, Present, and Future -
- Integrated Eco-Engineering Design for Sustainable Management of Fecal Sludge and Domestic Wastewater
- 북한 함경북도 신포 지역 포유류 및 양서파충류 조사 연구
- Hexachlorobenzene Dechlorination Ability of Microbes from Canal and Estuary Sediments
- Effect of Nitrogen-Load Condition on Hydrogen Production and Bacterial Community in Continuous Anaerobic Hydrogen Fermentation Process
- 물벼룩과 형광성 박테리아를 이용한 타르색소의 독성평가
- A Study on Degradation of Nonylphenol Polyethoxylate Metabolites Using Uv / Photocatalytic Silicagel Treatment
- 정체된 시화 인공습지와 해수유통이 활발한 강화 갯벌에서의 혐기성 유기물 분해능 및 분해경로 비교
- Persistent Organic Pollution and Arsenic Contamination in Asia Pacific Water: Case Study of Emerging Environmental Problems in Vietnam
- Nature-based Tourism in Small Islands Adjacent to Jakarta City, Indonesia: A case study from Seribu Islands
- Status, Trend and Strategy on Municipal Wastewater Management in China
- Stable Fermentative Hydrogen Production by Polyvinyl Alcohol (Pva) Gel Beads Fluidized Bed Reactor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2025년 정부 R&D 데이터를 활용한 지질자원 미래유망기술과 정부정책 연계 분석
-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개발 사업에 대한 미디어 분석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제12권 제3호 목차
-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연안 설계 풍속 추정: 마라도 지역 사례 연구
- 어류 생태 및 수리 특성 기반의 최적 서식환경 조성을 위한 인공어초 설치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