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질산성 질소의 현장 분석 방법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이용수 8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 저자명
- 정용준
- 간행물 정보
- 『한국습지학회지』제15권 제2호, 265~269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1.0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질산성 질소의 간이분석을 위한 기초 연구로 수행되었다. 수중 질소는 부영양화를 유발하는 암모니아, 아질
산 및 질산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질소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고, 이에 따른 분석기술도 발달
했다. 현장 모니터링을 위한 간이 분석방법의 개발은 수질관리를 위해 필요하므로, 본 연구는 아질산성 질소의 현장 분석
법 개발을 위해 진행되었다. BCDMA와 바이페닐로 코팅된 PVC 흡착 칼럼을 이용한 아질산성 질소 분석의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흡착칼럼내의 흡착제는 4∼20 ㎎NO2-N/L 범위내에서 발색길이를 나타내었고, 흡광도는 pH의 영향을 받는 것
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질산성 질소의 현장 분석 방법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 마닐라의 홍수저감을 위한 잡용수 대체자원으로서의 가정용우수저류시설 분석
- 강화도 남단 조간대에 도래하는 마도요류의 환경수용능력 예측
- 기후변화가 평창강 금강모치의 생태서식 환경에 미치는 영향 평가
- Pilot scale 세정산발효를 이용한 하수 일차슬러지의 산발효
- 강수지표의 시간에 따른 변화 조사
- 농업지역에 조성된 자유수면형 인공습지의 유로에 따른 영양염류의 변화 평가
- 공검지(경북 상주) 습지보호지역의 식물상
- CO2농도 및 온도 상승이 하천변 잠재자연식생인 졸참나무와 갈참나무 잎의 형태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 강화도 남단에 도래하는 도요새들의 해안 내륙 휴식지 이용과 이들의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들
- 강원도 양구군 해안분지의 지하수 사용과 전망
- 국지적 산사태 발생 예보를 위한 레이더 자료의 활용성 평가
- 4대강 살리기 사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Middle Triassic Post-collisional Granitoid in the Western Gyeonggi Massif, Korea: Crustal Melting during the Permo-Triassic Orogenic Collapsing
- 산청-하동지역 회장암체와 회장암체 내 수반되는 Fe-Ti Oxide 광화작용에 관한 예비연구
- 활석 함유 화장품과 생활용품의 광물학적 특성과 석면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