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주도 습지의 수서곤충상과 분포 특성
이용수 15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 저자명
- 정상배 오홍식 전형식 양경식 김원택
- 간행물 정보
- 『한국습지학회지』제12권 제2호, 35~4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0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난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제주도 지역 습지 102곳에 대해 수서곤충상과 서식지의 해발 고도와 고도의
분포 범위, 먹이형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조사지내에서는 제주도의 수서곤충 총 7목 32과 73속 100종이 확
인되었다. 분류군별로는 하루살이목 1종, 잠자리목 23종, 강도래목 1종, 노린재목 23종, 딱정벌레목 47종, 날도
래목 3종, 파리목 2종이었다. 가장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종은 방물벌레이며, 다음으로는 고추잠자리, 밀잠자리,
애소금쟁이이며, 다음은 애송장헤엄치게로 확인되었다. 단 한 곳에서만 확인된 종은 잘룩허리왕잠자리 등 16종이
었다. 고도에 따른 분포특성과 범위는 저지대에서는 방게아재비 등 10종, 중간지대에서는 새가슴물땡땡이 1
종, 고지대에서는 민강도래Kub 등 6종이었다. 그리고 협역분포종은 물장군 등 44종, 중간분포종은 물벌레 등
18종, 광역분포종은 메추리장구애비 등 21종 이었다. 조사지에서 확인된 100종 중 포식성 75종, 식식성 18종, 잡
식성 5종, 부식성 2종으로 나타났고 광역분포종의 대부분은 포식성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제주도의 수서곤충은
대다수가 제한적인 고도의 범위에 분포하고 있고 포식성의 식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목차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2025년 정부 R&D 데이터를 활용한 지질자원 미래유망기술과 정부정책 연계 분석
-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개발 사업에 대한 미디어 분석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지구통계 역산해석 기법을 이용한 충적층 수리전도도 분포 추정 및 지하수 유동 경로 규명: 유계저수지 사례 연구
- 서울 안정사지 마애불·명문·약사불의 암석학적 특성과 손상도 평가
- Deriving Geotechnical Parameters for Foundation Design in Ea Trang, Vietnam, through Combined Seismic Method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