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강진만 해역복원사업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분석
이용수 9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 저자명
- 홍선기 김경완 김재은 이경아
- 간행물 정보
- 『한국습지학회지』제12권 제3호, 107~12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0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준설과 모래채취가 시행된 강진만 해역복원사업 이후 강진만의 생태계 변화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주민 모니터링을 실시한 것이다. 과거 주요 바지락 생산지였던 강진만의 갯벌생태계
는 해역복원사업(모래채취 및 준설)으로 인하여 생태계가 교란되어 어패류를 생산할 수 없게 되었다. 아직도 부
분적으로 고막과 석화 등이 채취되나 점차 그 생산량은 줄어들고 있다. 이로 인해 지역주민들의 삶도 크게 변화
되고 있다. 농어촌의 특성상 인구가 급격히 줄어드는 특징은 여느 농어촌과 비슷하지만, 해역의 훼손과 오염으로
인해 어패류가 급감되자 생계에 직접적인 타격을 받은 어민들로 인해 더욱 심각한 인구감소가 나타나고 있다. 지
역주민 인식분석 결과 강진만의 오염과 어패류의 급감은 해역복원사업과 장흥댐 건설로 인한 담수 공급 어려움
에 의한 것으로 요약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갯벌에 대한 생태계 조사뿐 아니라 이곳에 의존하는 어촌주민들에
대한 장기적인 사회경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목차
1. 서 론
2. 조사지 개황
3. 조사방법
4. 결과 및 토론
5. 맺음말
감사의 글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안성천 상류유역에서의 수문관측자료에 의한 침투능 곡선식의 결정
- 강우-유출 모형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돌발홍수기준
- 저수지 퇴적토 코어의 깊이에 따른 물리적 특성 변화
- 농업지역 내 FWS 인공습지의 수질정화효율 분석
- 남강 주변 습지의 보전 현황과 보전 대책
- 마산만 봉암갯벌 퇴적물의 중금속 오염도 평가 : 이 찬 원,전 홍 표,이 성 진
- 안양천 및 주변지역의 생태계 현황 및 생태공원 조성방안 연구
- 신경망기법을 이용한 수문학적 분해모형
-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근소만 갯벌 퇴적환경 및 저서미세조류 환경 분석
- 강진만 해역복원사업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분석
- 소양강댐 건설에 따른 주변 식생의 변화
- 동해안 석호에서 수생천이계열에 따른 식생구조의 변화
- 포장지역 강우유출수 관리를 위한 침투도랑 기술개발
- 멸종위기 부엽식물 가시연꽃 개체군의 분포, 멸종 원인 key factor에 대한 실험과 보전을 위한 관리전략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제12권 제2호 목차
- 해안지역 홍수예측 및 위험관리를 위한 GIS-딥러닝 통합 시뮬레이션 체계 구축
- 서남해 인근 해역의 계절별 통항특성에 기반한 선박과 해상풍력발전단지의 안전이격거리 설정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